[BizⓝCEO] 이현우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차세대 이동통신 PD, 모바일 산업의 R&D 추진방향

녹색기술과 연구체계 개선도 주목해야
< 이 기사는 BizⓝCEO 기획특별판 입니다 >

2010년 정부의 R&D 예산은 총 13조7000억원으로 매년 10% 전후 증가하고 있다. 민간 부문을 포함한 국가 전체의 R&D 비중은 GDP 대비 3% 중반으로,OECD 국가 중에서도 스웨덴,핀란드에 이어 최상위권에 속한다. 이 중 지식경제부가 집행하는 R&D 예산은 4조4000억원이고,이 중 5700억원 정도가 정보통신 분야에 투자된다. 정부의 이러한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R&D 투자는 민간의 과감한 설비투자와 함께 우리나라를 IT강국으로 만들어 온 원동력이라고 볼 수 있다.

90년대의 CDMA와 WCDMA,그리고 2000년대의 와이브로로 이어지면서 정부가 선도하고 민간이 적극 참여하는 R&D모델 덕택에 이동통신 산업 분야는 크게 성장해 왔으나 최근에는 민간의 R&D 참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런 현상은 민간의 역량이 그만큼 커졌다는 긍정적인 신호로 볼 수도 있으나,다른 한편으로는 중장기 원천기술 확보보다는 단기 상품화에 너무 집중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모바일 산업의 R&D는 크게 세 가지 방향으로 추진돼야 한다. 첫째는 원천기술 및 표준특허 확보 분야로,4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LTE Advanced' 및 'WiBro Evolution' 분야와 차세대 무선 랜 및 밀리미터파 통신기술 등이 대표적이다. 내년 초 4세대 기술의 표준화가 완성되지만 당분간은 기술의 상용화 및 개선을 위한 연구를 더 진행해야 하고,차차 세대의 미래기술도 요소기술 분야별로 차근차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는 핵심부품에 대한 투자다. 메모리,LCD,2차 전지와 카메라 모듈 등 국산부품의 비중이 큰 분야도 있지만,모뎀 및 고주파 부품 등은 핵심 고가부품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을 수입에 의존해 왔다. 이 분야는 기술의 진보가 빠르고 투자의 리스크가 커 선진기업들도 포기하거나 개발 조직을 병합하는 예가 많은 만큼,끈기를 가지고 장기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셋째는 신규 서비스 발굴 및 인프라 조성이다. 보다 정확한 사용자 위치 인식,'Peer to Peer' 서비스,이동 방송서비스 등 새로운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기술의 연구는 물론,일반인들에게 잘 드러나지는 않지만 산업 생태계에서는 필수적인 시험 · 계측 및 인증기기 분야의 경쟁력 제고도 인프라 구축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다. 최근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는 저소비전력화,소모자원 절약 등의 녹색기술과 연구체계 개선도 주목해야 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