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zⓝCEO] ㈜거산기계 ‥ 건설폐기물 처리기계 국산화…해외 수출도
입력
수정
녹색성장 바람 속에 폐기물처리 관련 사업이 봄날을 맞고 있다. 수입에 의존하던 건설폐기물처리 시스템을 국산화하고 해외 수출 판로를 개척한 파이오니어 기업이 있어 주목된다.
건설폐기물 처리기계 생산기업 ㈜거산기계(대표 박용기 www.keosan21.co.kr)가 그 주인공. 이 회사는 수입 의존도가 컸던 건설폐기물 처리기계의 국산화에 성공한 데 이어,코트라(KOTRA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도움으로 베트남 수출 길까지 열어 탄탄대로를 달리고 있다. 박용기 대표는 "일본의 건설폐기물 처리기계를 철저히 연구한 결과 국산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우리 회사 제품은 일본 제품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거산기계 매출의 70%는 베트남수출이 차지한다. 수입에 의존하던 건설폐기물 처리기계의 국산화 대체는 물론 향후 확대가 예상되는 시장 선점 등의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거산기계의 건설폐기물처리기계는 습식이물질분리기,유압콘크라셔,조크랴셔 등의 단일품과 재활용플랜트,토양복원플랜트,석산플랜트 등의 플랜트형 제품으로 나뉜다. 재활용플랜트는 건설폐기물로부터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해 이익을 발생시키며,토양복원플랜트는 토양세척 공법으로 오염된 토양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시켜준다. 또 석산플랜트는 석산에서 채취한 골재를 파쇄,가공해 모래로 제조하는 설비시설이다.
㈜거산기계는 최근 순환골재생산에 대한 신기술인증서 및 기술검증서를 환경부로부터 획득했다. 이는 자회사인 폐기물수집 · 처리 전문기업 ㈜정우개발과 ㈜중앙환경과 함께 이룬 쾌거다. 올해는 베트남 법인(거산비나) 준공과 서비스 업종에도 진출할 방침이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
건설폐기물 처리기계 생산기업 ㈜거산기계(대표 박용기 www.keosan21.co.kr)가 그 주인공. 이 회사는 수입 의존도가 컸던 건설폐기물 처리기계의 국산화에 성공한 데 이어,코트라(KOTRA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도움으로 베트남 수출 길까지 열어 탄탄대로를 달리고 있다. 박용기 대표는 "일본의 건설폐기물 처리기계를 철저히 연구한 결과 국산화에 성공할 수 있었다"며 "우리 회사 제품은 일본 제품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셈"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거산기계 매출의 70%는 베트남수출이 차지한다. 수입에 의존하던 건설폐기물 처리기계의 국산화 대체는 물론 향후 확대가 예상되는 시장 선점 등의 효과를 가져 올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거산기계의 건설폐기물처리기계는 습식이물질분리기,유압콘크라셔,조크랴셔 등의 단일품과 재활용플랜트,토양복원플랜트,석산플랜트 등의 플랜트형 제품으로 나뉜다. 재활용플랜트는 건설폐기물로부터 고품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해 이익을 발생시키며,토양복원플랜트는 토양세척 공법으로 오염된 토양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시켜준다. 또 석산플랜트는 석산에서 채취한 골재를 파쇄,가공해 모래로 제조하는 설비시설이다.
㈜거산기계는 최근 순환골재생산에 대한 신기술인증서 및 기술검증서를 환경부로부터 획득했다. 이는 자회사인 폐기물수집 · 처리 전문기업 ㈜정우개발과 ㈜중앙환경과 함께 이룬 쾌거다. 올해는 베트남 법인(거산비나) 준공과 서비스 업종에도 진출할 방침이다.
최규술 기자 kyus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