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보다 2배 높은 중고차 할부금리 손본다
입력
수정
중간매매상에 리베이트 지급자영업자인 K씨(39)는 서울 장안평 매매시장에서 1000만원 안팎의 중고자동차를 구입하려다 결국 포기했다. 현금이 부족해 선수금으로 100만원을 내고 나머지 900만원은 캐피털사의 할부금융을 이용할 생각이었는데,금리가 무려 연 20%를 넘었기 때문이다. 그는"어떻게 신차 할부금리와 중고차 할부금리가 이렇게 차이날 수 있느냐"며 "할부금융사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 같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비자는 비교도 못한채 이용
금감원, 조회시스템 구축 인하유도
신차에 비해 턱없이 높은 할부금융사들의 중고차 할부금융 금리에 소비자들이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현재 자동차 할부금융의 평균 금리는 신차가 연 12.4%인 반면 중고차는 25.5%로 두 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중고차 할부금리가 13%포인트 높아
물론 중고차를 살 때도 10%대 초반의 할부금리를 부담하는 고객들이 있다. 하지만 극소수에 불과하다. 소비자단체의 한 관계자는"중고차는 대개 목돈이 부족한 서민이 주로 구입하고,이들 중 60% 정도가 할부를 이용한다"며 "캐피털사 등 할부금융 회사들이 서민의 약점을 이용해 돈을 벌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 금융감독원이 31일 발표한 할부금융업 시설대여업 등 52개 여신전문 금융회사의 작년 순이익은 9581억원으로 2008년(7480억원)보다 28.1% 급증했다. 자동차 할부금융과 대출 영업이 호조를 보인 덕분이라는 게 금감원의 분석이다. 일반적으로 중고차는 신용도가 낮은 고객들이 주로 구매하기 때문에 할부금을 갚지 못하는 경우가 신차에 비해 많다. 통계적으로 중고차 할부의 대손율은 평균 5% 수준이다. 1% 정도인 신차 할부의 대손율보다 4%포인트가량 높다. 대손율이 이 정도 높으면 금리도 비슷한 차이를 보여야 하지만 중고차 할부금리가 신차보다 13%포인트가량 높은 것은 중고차 매매상에게 제공하는 리베이트 때문이다.
일반인이 중고차를 할부로 구입할 때 중고차 매매상이 제시하는 할부금리를 별 대안 없이 받아들이는 게 보통이다. 캐피털사들은 이런 점을 이용해 자사의 상품을 팔아달라고 부탁하며 중고차 매매상에게 평균 7%가량의 중개수수료를 제공한다.
◆자동차 할부금리 인하 유도금감원은 이 같은 할부금융사의 영업 행태가 중개수수료 인상으로 이어져 서민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할부금리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소비자들이 금리를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맞춤형 금리비교 시스템'을 오는 6월까지 여신금융협회 사이트(www.crefia.or.kr)에 구축키로 했다.
이 시스템은 자동차 할부금융 이용자가 자신에게 해당하는 주요 금리 결정 요소를 입력하면 회사별 취급 조건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게 된다. 홍재필 금감원 여신전문기획팀장은 "20여개 캐피털사의 할부금리를 한눈에 비교하게 되면 캐피털사 간 금리 인하 경쟁이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의 다른 관계자는 "캐피털사의 자율적 금리 인하를 유도하되 제대로 안 될 경우 현장 검사를 실시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신차를 구입할 때보다 할부금리가 훨씬 높은 중고차를 살 때 더 유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자동차 할부 금융 취급액은 13조661억원으로 연간 자동차 구매액의 23.5%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신차 할부가 10조7824억원,중고차 할부가 2조2837억원이다.
강동균 기자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