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PB 세무사의 節稅노트] 아파트 옵션 공사도 과세 대상…완공 후에 하면 취득세 줄어
입력
수정
직장인 A씨는 지난주 분양받은 주택 완공을 앞두고 아파트 현장에 사전입주 점검차 다녀왔다. A씨는 시공사에서 추천한 고급 마감재로 붙박이장 등을 설치하는 추가공사(옵션공사)를 할 계획이다. 하지만 옵션공사가 취득세 등록세 등에도 영향을 주는지 궁금해 하고 있다.
매매 등을 통해 소유권을 이전받을 때 처음으로 마주하는 세금이 취득세와 등록세다. 매매로 취득(분양계약 포함)하는 부동산의 취득세와 등록세의 표준세율은 각각 취득하는 물건가액의 2%로 하고 있다. 하지만 주택에 대한 취득세와 등록세 세율은 지방세법에서 산출한 세액의 50%인 1%를 각각 감면받아 두 세목 합계 2%의 세율이 적용된다. 취득세 및 등록세 이외에 부가세인 농특세 지방교육세라 불리는 부가세도 따로 내야 한다. 농특세가 면제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주택은 세율이 2.2%가 된다. 국민주택규모를 초과하는 주택을 취득하게 되면 2.7%의 세율이 적용된다.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기 위해선 이런 세율뿐만 아니라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과세표준(기준이 되는 재산의 크기)이 필요하다. 취득시기까지 시행사 등에 납부한 직 · 간접 비용을 모두 합한 금액이 취득 관련 부동산의 과세표준이 된다.
따라서 A씨처럼 입주 전에 옵션을 선택해서 고급 마감재공사를 별도로 시행한 경우나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주방가구,거실장 등 붙박이 품목(빌트인 방식)이 갖춰진 아파트를 취득할 때 붙박이 품목의 가격도 취득 관련 과세대상금액에 포함된다는 게 과세당국의 판단이다. 이는 옵션이나 추가공사를 시행했다고 해서 취득세가 추가되는 게 아니라 주택의 효용과 기능을 높여 취득세 납부대상이 되는 아파트 가치가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취득세 과세기준을 잘 들여다보면 오히려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취득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취득가격은 과세대상 물건의 취득시기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취득시기인 아파트의 완공시점(사용승인서 교부일 등) 후에 옵션과 동일한 공사를 하게 된다면 취득세를 피할 수 있다.
또 여유자금이 있는 분양자라면 통상 시중은행 금리보다 높은 할인율이 적용되는 중도금 선납제를 이용하면 유리하다. 입주할 때 내야 할 취 · 등록세 계산 때 선납으로 할인된 가격만큼 분양가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과표가 줄어들게 돼 취득세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신규 <하나은행 세무사>
매매 등을 통해 소유권을 이전받을 때 처음으로 마주하는 세금이 취득세와 등록세다. 매매로 취득(분양계약 포함)하는 부동산의 취득세와 등록세의 표준세율은 각각 취득하는 물건가액의 2%로 하고 있다. 하지만 주택에 대한 취득세와 등록세 세율은 지방세법에서 산출한 세액의 50%인 1%를 각각 감면받아 두 세목 합계 2%의 세율이 적용된다. 취득세 및 등록세 이외에 부가세인 농특세 지방교육세라 불리는 부가세도 따로 내야 한다. 농특세가 면제되는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주택은 세율이 2.2%가 된다. 국민주택규모를 초과하는 주택을 취득하게 되면 2.7%의 세율이 적용된다.
납부할 세액을 계산하기 위해선 이런 세율뿐만 아니라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과세표준(기준이 되는 재산의 크기)이 필요하다. 취득시기까지 시행사 등에 납부한 직 · 간접 비용을 모두 합한 금액이 취득 관련 부동산의 과세표준이 된다.
따라서 A씨처럼 입주 전에 옵션을 선택해서 고급 마감재공사를 별도로 시행한 경우나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주방가구,거실장 등 붙박이 품목(빌트인 방식)이 갖춰진 아파트를 취득할 때 붙박이 품목의 가격도 취득 관련 과세대상금액에 포함된다는 게 과세당국의 판단이다. 이는 옵션이나 추가공사를 시행했다고 해서 취득세가 추가되는 게 아니라 주택의 효용과 기능을 높여 취득세 납부대상이 되는 아파트 가치가 그만큼 커졌기 때문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취득세 과세기준을 잘 들여다보면 오히려 세금을 줄일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취득세의 과세표준이 되는 취득가격은 과세대상 물건의 취득시기를 기준으로 판단한다. 취득시기인 아파트의 완공시점(사용승인서 교부일 등) 후에 옵션과 동일한 공사를 하게 된다면 취득세를 피할 수 있다.
또 여유자금이 있는 분양자라면 통상 시중은행 금리보다 높은 할인율이 적용되는 중도금 선납제를 이용하면 유리하다. 입주할 때 내야 할 취 · 등록세 계산 때 선납으로 할인된 가격만큼 분양가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과표가 줄어들게 돼 취득세도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이신규 <하나은행 세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