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인포데믹스'…위안화 절상시 한국증시 최대敵

지난주 미국의 티모시 가이트너 재무장관과 중국의 왕치산 부총리 간 긴급회동 이후 위안화 평가절상이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시장 참여자들의 관심은 언제 어떻게 얼마나 절상되느냐로 쏠리고 있다.

이번 주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의 워싱턴 방문을 앞두고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이때가 아니더라도 다음 달 24,25일 열리는 미 · 중 전략경제대회에 앞서 이뤄질 것이란 시각이 대부분이다. 위안화 절상이 가시권에 들어온 셈이다. 평가절상 방법에 있어서 큰 문제는 없다. 2008년 7월 이후 달러당 6.8위안 선에서 고정돼 있는 것은 금융위기의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운용상 문제로,중국 외환당국이 개입만 하지 않으면 현재 중국 내 외화수급 여건을 감안했을 때 자연스럽게 절상된다. 제도상 하루 변동폭을 확대하는 조치까지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중국 측의 태도로 볼 때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힘들다.

최대 관심사인 위안화 절상폭은 환율구조 모형 등에서 적정선인 25% 절상을 한꺼번에 가져가는 '빅 스텝'보다 수출과 경기에 미치는 충격을 감안해 '베이비 스텝' 방식을 채택할 가능성이 높다. 예측기관과 금융권에선 올해 안에 위안화 가치가 최대 5% 절상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위안화 절상이 가시권에 들어옴에 따라 대(對) 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국가들의 통화가치도 동반상승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원화가치는 지난 주말 달러당 1118원까지 올라 1년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벌써부터 국내 외환시장에서도 엔화에 이어 '위안화 참고환율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고 있는 셈이다. 앞으로 위안화 절상이 본격화할 경우 원화가치는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최소자승법 등으로 위안화와 원화 간의 동조화 계수를 구하면 0.57로 추정된다. 위안화 가치가 1% 절상되면 원화가치는 0.57% 오른다는 의미다.

이 경우 먼저 수출과 경기에 미치는 충격이 우려된다. 하지만 통계기법상 요인 분석을 통해 우리 수출을 가격(환율)효과와 소득(세계경기)효과로 나눈다면 후자가 약 70%를 좌우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경기 회복세만 지속된다면 위안화 절상에 따라 원화가치가 오르더라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는 것이 지금의 수출구조다.

오히려 제3국 시장에서 중국과 한국 제품 간의 수출경합지수(ESI)가 높게 나오는 점을 감안하면 위안화 절상에 따른 한국제품의 경쟁력 개선효과가 클 수밖에 없다. 대 중국 직접 수출은 위안화 절상 시 예상되는 중국 수출과 경기 둔화에 따른 감소 요인을 내수확대에 따른 증가 요인으로 어느 정도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온다. 더욱이 증시에서는 위안화 절상으로 원화가치가 오를 경우 외국인 자금이 계속 유입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피셔 이론대로 원화가치가 오르면 외국인들에게는 그만큼 환차익이 추가적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3월 말 회계연도 결산이 끝나고 빠르게 진행되는 엔화 약세까지 겹치면 엔캐리 자금의 유입도 기대된다. 또 최근처럼 원 · 달러 환율이 적정선 밑으로 떨어진 상황에서는 특정 사건이 발생할 때 곧바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는 '서든 스톱'의 가능성을 줄이는 효과도 크다.

가장 우려해야 할 것은 중국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부담을 어떻게 완화시켜 줄 것인가 하는 점이다. 소비의 전시효과로 외국기업들에게 높아지는 중국 근로자들의 임금인상 요구와 현지금융 금리상승,토지사용권 환수 움직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지 한국 기업들에게 위안화 절상까지 겹칠 경우 4중고를 당하는 셈이기 때문이다.

이미 한계 상황에 달한 한국 기업들은 중국 내에서 서비스 쪽으로 업종 전환을 하거나 인도네시아 미얀마 캄보디아 에디오피아 등으로 생산기지를 옮기는 이른바 '화전민(火田民)식 글로벌 경영'을 추진하기 시작한 지 오래됐다. 위안화가 절상된다면 이 같은 움직임은 더 빨라지고,적응하지 못한 기업들은 국제 미아(迷兒)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 한국 경제와 증시는 앞으로 위안화 절상시대를 맞게 된다. 다방면에 걸쳐 예상효과를 잘 따져서 선제적으로 대비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증시에서는 위안화 절상에 따른 부정적 효과만을 너무 부각시키는 '인포데믹스'(Infodemics:정보와 전염병의 합성어로 부정확한 정보확산으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의미) 현상을 가장 경계해야 한다.

객원 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