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함미 인양] 천안함 드러난 절단면...침몰 원인 규명 노력
입력
수정
전문가들, 외부충격-어뢰폭발 등에 무게
"절단면 파손정도 심해..격실진입 힘들정도 구겨져"
15일 인양된 함미의 절단면을 제외한 부분의 파손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어뢰폭발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침몰했다는 가능성이 비중있게 제기되고 있다.오후 1시14분 군과 민간 인양팀이 바지선으로 옮긴 함미는 스크루와 선체 밑부분은 온전했지만 하푼 미사일 2기와 경어뢰 2발이 장착된 어뢰발사관 1문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선체 좌.우측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선체 철판이 날아가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려났을 가능성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침몰 원인을 규명해줄 절단면의 좌,우현이 모두 파괴돼 중앙부위 밑에서 강한 충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확한 침몰 원인은 추후 민.군 합동조사단의 정밀 조사에서 가려질 전망이다.함미 절단면을 지켜본 전문가들은 외부충격에 의해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일단 무게를 두고 있다. 함내에서 폭발이 있었다면 폭발 주변부까지 파손됐어야 하는데 인양된 함미는 외관상 절단면 외에 파손된 흔적이 없어, 일단 내부폭발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한 해양공학 전문가는 "선체 밑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것으로 보인다"며 "절단면의 파손 상태로 봐서 내부폭발에 의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선체를 동강 내려면 중어뢰(heavyweight torpedo) 이상의 무기어야 한다"며 "절단면의 정밀 조사와 나머지 파편을 찾아내 외부 충격의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선체 아래에서 버블제트(강력한 공기덩어리가 터지는 현상) 어뢰가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구체적인 분석도 나왔다.
전직 해군 관계자는 "외부에서 어뢰가 때린 것"이라며 "직주어뢰라면 구멍이 뚫렸겠지만 파손 상태로 미뤄 이보다 발달된 버블제트 어뢰가 확실하다. 배의 통로나 바닥에 깔린 초록색 우레탄이 갑판까지 솟구칠 정도의 충격이라면 어뢰가 맞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해군 관계자도 "함미 절단면 좌,우가 모두 타원형 형태로 파손됐다"면서 "어뢰 등 외부에 의한 충격으로 보이는데 어떤 운반수단을 이용했는지는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이 때문에 나머지 금속 파편을 찾는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설명이다.
가까운 바다도 평균 수심이 1000~1400m에 달하는 동해와 달리 서해상으로 수심이 낮고 해저에 모래가 많아 파편을 찾는 것이 수월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전한다.
군은 이날부터 수중 잔해물 탐색을 위해 무인탐사정 '해미래호'를 투입해 폭발 원점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 중이다. 민.군 합조단도 이날 바지선에 현장조사팀 38명을 투입, 본격적인 조사 활동에 돌입했다.현장조사팀은 군 인사 26명과 민간인 10명, 미국 조사요원 2명으로 구성됐다. 민간은 윤덕용 공동조사단장을 비롯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요원 2명, 함정구조 전문가 4명, 폭발유형분석 전문가 3명 등이 포함됐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
"절단면 파손정도 심해..격실진입 힘들정도 구겨져"
15일 인양된 함미의 절단면을 제외한 부분의 파손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어뢰폭발 등의 외부충격에 의해 침몰했다는 가능성이 비중있게 제기되고 있다.오후 1시14분 군과 민간 인양팀이 바지선으로 옮긴 함미는 스크루와 선체 밑부분은 온전했지만 하푼 미사일 2기와 경어뢰 2발이 장착된 어뢰발사관 1문 등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선체 좌.우측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선체 철판이 날아가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밀려났을 가능성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침몰 원인을 규명해줄 절단면의 좌,우현이 모두 파괴돼 중앙부위 밑에서 강한 충격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정확한 침몰 원인은 추후 민.군 합동조사단의 정밀 조사에서 가려질 전망이다.함미 절단면을 지켜본 전문가들은 외부충격에 의해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일단 무게를 두고 있다. 함내에서 폭발이 있었다면 폭발 주변부까지 파손됐어야 하는데 인양된 함미는 외관상 절단면 외에 파손된 흔적이 없어, 일단 내부폭발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것이다.
한 해양공학 전문가는 "선체 밑에서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것으로 보인다"며 "절단면의 파손 상태로 봐서 내부폭발에 의한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선체를 동강 내려면 중어뢰(heavyweight torpedo) 이상의 무기어야 한다"며 "절단면의 정밀 조사와 나머지 파편을 찾아내 외부 충격의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선체 아래에서 버블제트(강력한 공기덩어리가 터지는 현상) 어뢰가 폭발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구체적인 분석도 나왔다.
전직 해군 관계자는 "외부에서 어뢰가 때린 것"이라며 "직주어뢰라면 구멍이 뚫렸겠지만 파손 상태로 미뤄 이보다 발달된 버블제트 어뢰가 확실하다. 배의 통로나 바닥에 깔린 초록색 우레탄이 갑판까지 솟구칠 정도의 충격이라면 어뢰가 맞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해군 관계자도 "함미 절단면 좌,우가 모두 타원형 형태로 파손됐다"면서 "어뢰 등 외부에 의한 충격으로 보이는데 어떤 운반수단을 이용했는지는 앞으로 규명해야 할 과제"라고 말했다.이 때문에 나머지 금속 파편을 찾는데 전력을 다해야 한다는 것이 공통된 설명이다.
가까운 바다도 평균 수심이 1000~1400m에 달하는 동해와 달리 서해상으로 수심이 낮고 해저에 모래가 많아 파편을 찾는 것이 수월할 것이라고 군 관계자들은 전한다.
군은 이날부터 수중 잔해물 탐색을 위해 무인탐사정 '해미래호'를 투입해 폭발 원점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 중이다. 민.군 합조단도 이날 바지선에 현장조사팀 38명을 투입, 본격적인 조사 활동에 돌입했다.현장조사팀은 군 인사 26명과 민간인 10명, 미국 조사요원 2명으로 구성됐다. 민간은 윤덕용 공동조사단장을 비롯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요원 2명, 함정구조 전문가 4명, 폭발유형분석 전문가 3명 등이 포함됐다.
한경닷컴 경제팀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