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산업단지 선진형 혁신거점으로 탈바꿈해야

지난 참여정부 때 시작된 이른바 클러스터(혁신 집적지 개념) 사업에 대해 지식경제부가 개선방안을 내놨다. 현 정부의 5+2 광역경제권에 맞춰 개별단지에서 광역단위 수준으로 확대하고, 클러스터 사업을 추진하는 산업단지도 기존의 12개에서 전국 193개로 그 대상을 확 넓히겠다는 게 골자다. 정부는 이를 통해 자생력을 갖춘, 세계적 클러스터가 나올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과연 그런 클러스터가 탄생할 수 있을 것인가.

사실 기존 클러스터 사업의 수정은 시간문제나 마찬가지였다. 산업단지 내에서 소위 미니 클러스터(MC)로 불리는 소규모 산 · 학 · 연 협의체를 확산시키는 등 씨앗을 뿌린 점은 성과로 꼽히지만,산업단지를 창조와 혁신이 선순환되는 혁신 클러스터로 전환하겠다는 목표에 비춰보면 아직 갈 길이 멀기 때문이다. 정부가 클러스터 사업을 광역단위 차원으로 끌어 올리고, 대상 산업단지를 넓힌 것은 일단 바람직하다. 그동안 지역별로 적당히 나눠먹기식으로 사업이 운영돼 온 측면이 적지 않았고 보면 특히 그렇다. 문제는 이것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정부는 클러스터의 획일화를 지적했지만 사실 이는 정부의 평가방식 탓도 크다. 평가방식이 획일적이면 클러스터가 획일화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결과라고 해야 할 것이다. 클러스터의 개방성을 확대하고, 경쟁과 자율성 · 전문성을 강화하려면 우선 정부의 평가방식부터 과감히 바꿔야 한다.

또 클러스터는 무엇보다 콘텐츠가 핵심이라는 점도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 그동안 클러스터는 외양 갖추기에 연연해 온 측면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이런 클러스터는 결코 오래갈 수 없다. 클러스터의 지속 여부는 어디까지나 참여자들이 도움이 된다고 느낄 수 있느냐에 달려있고 보면,한마디로 시장의 인센티브가 작동돼야 한다는 얘기다. 미국 실리콘밸리 등 자생적인 경쟁력을 갖춘 글로벌 클러스터들은 혁신의 생태계가 형성됐기에 성공한 곳들이다. 전국의 산업단지가 클러스터를 통해 혁신거점으로 거듭나려면 이 점을 특히 유념(留念)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