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내 ‘실세'는? “30대 정치적 성향 남자 영업팀장"
입력
수정
[한경닷컴] 회사 내에서 인정과 신임을 받으며 막강한 영향력을 지니는 이른바 ‘실세’로 불리는 직원이 어디든 있기 마련이다.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전국의 직장인 370명을 대상으로 ‘회사 내 실세 직원’(임원 제외)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84.9%가 회사 내 실세로 여겨지는 직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기업 10곳 중 8~9개 기업이 해당되는 셈이다.실세직원이 있다는 응답률은 대기업(90.4%)이 중소기업(81.7%)보다 8.7%포인트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들이 실세로 여겨지는 이유로는 △‘임원을 비롯한 윗사람과의 관계가 가장 밀접하기 때문’(37.9%)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주변에서 업무로 가장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17.2%) △‘회사의 요인(대표, 임원 등)과 특수한 관계(가족, 친척 등)이기 때문’(14.6%)이란 응답도 적지 않았다.실세로 불리는 데는 탁월한 업무능력도 필요하지만 임원 등 윗사람과의 직간접적인 관계형성이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직위보다 큰 권한을 가지고 독립권을 보장받기 때문에’(11.8%) △‘가장 크고 우수한 성과를 내서’(10.8%) △‘실세들만 거치는 요직에 배치돼 있는 것만으로’(2.5%) △‘스스로 실세라고 내세우고 다니기 때문에’(2.2%) 등의 의견도 있었다.
실세들의 성별,연령,직무 등에 대해 물어본 결과 먼저 성별은 남성이 84.7%로 압도적이었다.여성(15.3%)이 실세가 되는 것은 남성문화 위주의 기업조직에서 쉽지 않은 일이라는 분석이다.연령은 △‘30대’가 54.8%로 절반을 넘었다.△‘40대’(35.7%)가 뒤를 이었고 △‘20대’(5.7%) △‘50대’(3.8%)의 순이었다.학벌은 △‘서울권 대학출신’(50.3%)이 가장 많았고 △‘지방권 대학출신’(42.4%) △‘해외대학 출신’(7.3%)의 순이었다.
직위는 드라마에 나오는 단골 호칭 ‘실장님’처럼 △‘실장 또는 팀장’(48.7%)이 절반에 가까웠다.이채로운 점은 △‘팀원’(23.2%)이 △‘부서장’(14.0%)이나 △‘본부장 또는 부문장’(14.0%)보다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이다.실세의 포지션이 일반적인 조직의 층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사람인 측은 설명했다. 직무는 △‘영업(관리)’이 18.2%로 가장 많이 꼽혔다.직접적으로 이윤을 가져오는 직무인데다 실적이 극명하게 드러나 능력이 뛰어나다면 조직의 운명을 좌우할 만큼 큰 위상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기업 내 대표적인 핵심인력으로 꼽히는 △‘경영기획/전략’ 직무도 16.2%로 높았고 △‘엔지니어/기술직’(15.6%)도 적지 않았다.이어 △‘인사’(8.6%) △‘연구개발’(8.3%) △‘마케팅’(6.4%) △‘생산(관리)’(6.4%) △‘총무/관리’(5.7%) △‘재무회계’(5.1%) △‘고객관리/상담’(2.5%) 등의 직무도 있었다.기업규모별로 나눠보면 대기업에서는 △‘경영기획/전략’(22.1%)이 실세직원의 직무로 제일 많이 꼽혔지만,중소기업은 △‘영업(관리)’(18.8%)가 으뜸이었다.
실세 직원의 성향으로는 △‘정치적이고 이해관계에 밝다’(20.4%)는 응답이 첫 손에 꼽혔다. △‘프라이드가 강하고 자신만만하다’(15.0%)가 뒤를 이었고,△‘융통성 있고 임기응변에 강하다’(14.6%) △‘논리적이고 언변에 능하다’(13.1%)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인맥이 넓다’(11.5%)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이밖에도 △‘냉철하고 이성적’(8.9%) △‘주관이 뚜렷하고 원칙주의적’(7.6%) 등의 의견도 있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취업포털 인크루트가 전국의 직장인 370명을 대상으로 ‘회사 내 실세 직원’(임원 제외)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의 84.9%가 회사 내 실세로 여겨지는 직원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기업 10곳 중 8~9개 기업이 해당되는 셈이다.실세직원이 있다는 응답률은 대기업(90.4%)이 중소기업(81.7%)보다 8.7%포인트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들이 실세로 여겨지는 이유로는 △‘임원을 비롯한 윗사람과의 관계가 가장 밀접하기 때문’(37.9%)이란 응답이 가장 많았다.△‘주변에서 업무로 가장 인정받고 있기 때문에’(17.2%) △‘회사의 요인(대표, 임원 등)과 특수한 관계(가족, 친척 등)이기 때문’(14.6%)이란 응답도 적지 않았다.실세로 불리는 데는 탁월한 업무능력도 필요하지만 임원 등 윗사람과의 직간접적인 관계형성이 더 중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어 △‘직위보다 큰 권한을 가지고 독립권을 보장받기 때문에’(11.8%) △‘가장 크고 우수한 성과를 내서’(10.8%) △‘실세들만 거치는 요직에 배치돼 있는 것만으로’(2.5%) △‘스스로 실세라고 내세우고 다니기 때문에’(2.2%) 등의 의견도 있었다.
실세들의 성별,연령,직무 등에 대해 물어본 결과 먼저 성별은 남성이 84.7%로 압도적이었다.여성(15.3%)이 실세가 되는 것은 남성문화 위주의 기업조직에서 쉽지 않은 일이라는 분석이다.연령은 △‘30대’가 54.8%로 절반을 넘었다.△‘40대’(35.7%)가 뒤를 이었고 △‘20대’(5.7%) △‘50대’(3.8%)의 순이었다.학벌은 △‘서울권 대학출신’(50.3%)이 가장 많았고 △‘지방권 대학출신’(42.4%) △‘해외대학 출신’(7.3%)의 순이었다.
직위는 드라마에 나오는 단골 호칭 ‘실장님’처럼 △‘실장 또는 팀장’(48.7%)이 절반에 가까웠다.이채로운 점은 △‘팀원’(23.2%)이 △‘부서장’(14.0%)이나 △‘본부장 또는 부문장’(14.0%)보다 높은 비율을 보인 것이다.실세의 포지션이 일반적인 조직의 층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고 사람인 측은 설명했다. 직무는 △‘영업(관리)’이 18.2%로 가장 많이 꼽혔다.직접적으로 이윤을 가져오는 직무인데다 실적이 극명하게 드러나 능력이 뛰어나다면 조직의 운명을 좌우할 만큼 큰 위상을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기업 내 대표적인 핵심인력으로 꼽히는 △‘경영기획/전략’ 직무도 16.2%로 높았고 △‘엔지니어/기술직’(15.6%)도 적지 않았다.이어 △‘인사’(8.6%) △‘연구개발’(8.3%) △‘마케팅’(6.4%) △‘생산(관리)’(6.4%) △‘총무/관리’(5.7%) △‘재무회계’(5.1%) △‘고객관리/상담’(2.5%) 등의 직무도 있었다.기업규모별로 나눠보면 대기업에서는 △‘경영기획/전략’(22.1%)이 실세직원의 직무로 제일 많이 꼽혔지만,중소기업은 △‘영업(관리)’(18.8%)가 으뜸이었다.
실세 직원의 성향으로는 △‘정치적이고 이해관계에 밝다’(20.4%)는 응답이 첫 손에 꼽혔다. △‘프라이드가 강하고 자신만만하다’(15.0%)가 뒤를 이었고,△‘융통성 있고 임기응변에 강하다’(14.6%) △‘논리적이고 언변에 능하다’(13.1%) △‘대인관계가 원만하고 인맥이 넓다’(11.5%) 등이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이밖에도 △‘냉철하고 이성적’(8.9%) △‘주관이 뚜렷하고 원칙주의적’(7.6%) 등의 의견도 있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