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1.7%,"'첫 직장'이 '직장 운'을 좌우"
입력
수정
[한경닷컴] 직장생활에서 직장인들이 느끼는 자신의 ‘운’은 어떨까.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와 이코노미플러스가 직장인 8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직장인 2명중 1명(51.7%)이 ‘첫 직장’에 따라 평생 직장 운이 좌우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러한 응답은 여성(55.4%)이 남성(47.8%)보다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20대(60.5%)가 30대(45.6%),40대(41.0%)보다 높았다.이는 ‘직장 운’이 좋은지 나쁜지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으로 ‘연봉’을 꼽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첫 직장에서의 연봉 초임은 이후 연봉협상이나,다른 기업으로 이직할 때에도 자신의 몸값을 좌우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직장 운이 좋은지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을 조사한 결과 ‘연봉’이라고 답한 직장인이 32.8%로 가장 많았다.이어 ‘직장분위기’(25.6%),‘직원에 대한 처우 및 복지’(24.5%)가 뒤를 이었다.‘업무가 본인에게 잘 맞는지의 정도’는 10.1%로 상대적으로 낮아 ‘직장 운’을 판단할 때 처우나 근무여건이 업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직장인 중에는 ‘직장분위기(인간관계)’에 따라 직장 운이 좋은지의 정도를 가른다는 응답이 28.3%로 남성직장인(22.8%) 보다 높아 직장생활에서 인간관계를 남성직장인보다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풀이됐다.그렇다면 언제 직장인들은 ‘직장 운’이 좋다고 느낄까.직장인 10명 중 3명(34.4%)은 회사에서 임금이나 복지 등 처우가 개선될 때 운이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밖에 ‘업무가 적성에 맞을 때’(21.9%)나 ‘회사분위기/문화가 자신과 잘 맞을 때’(15.0%) 직장 운이 좋다고 느낀다고 답했다.반면,‘회사사정이 악화될 때’(25.7%),‘상사에게 부당하게 질책을 받을 때’(18.6%)는 직장 운이 나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 운이 나쁠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직이나 전업을 고려한다’는 직장인이 45.6%로 5명중 2명이상에 달해 직장인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직장 운’이 이직을 고려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풀이됐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
특히 이러한 응답은 여성(55.4%)이 남성(47.8%)보다 높았고 연령대별로는 20대(60.5%)가 30대(45.6%),40대(41.0%)보다 높았다.이는 ‘직장 운’이 좋은지 나쁜지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으로 ‘연봉’을 꼽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첫 직장에서의 연봉 초임은 이후 연봉협상이나,다른 기업으로 이직할 때에도 자신의 몸값을 좌우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직장 운이 좋은지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기준을 조사한 결과 ‘연봉’이라고 답한 직장인이 32.8%로 가장 많았다.이어 ‘직장분위기’(25.6%),‘직원에 대한 처우 및 복지’(24.5%)가 뒤를 이었다.‘업무가 본인에게 잘 맞는지의 정도’는 10.1%로 상대적으로 낮아 ‘직장 운’을 판단할 때 처우나 근무여건이 업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여성 직장인 중에는 ‘직장분위기(인간관계)’에 따라 직장 운이 좋은지의 정도를 가른다는 응답이 28.3%로 남성직장인(22.8%) 보다 높아 직장생활에서 인간관계를 남성직장인보다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풀이됐다.그렇다면 언제 직장인들은 ‘직장 운’이 좋다고 느낄까.직장인 10명 중 3명(34.4%)은 회사에서 임금이나 복지 등 처우가 개선될 때 운이 좋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밖에 ‘업무가 적성에 맞을 때’(21.9%)나 ‘회사분위기/문화가 자신과 잘 맞을 때’(15.0%) 직장 운이 좋다고 느낀다고 답했다.반면,‘회사사정이 악화될 때’(25.7%),‘상사에게 부당하게 질책을 받을 때’(18.6%)는 직장 운이 나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 운이 나쁠 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직이나 전업을 고려한다’는 직장인이 45.6%로 5명중 2명이상에 달해 직장인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직장 운’이 이직을 고려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풀이됐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