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고용 전략회의] 대졸 年 4만5000명 남아돌아…대학 구조조정 '발등의 불'
입력
수정
2018년까지 전문대와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이들 중 한 해 평균 4만5000명이 직장을 구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대학진학률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전문대 이상 고학력자 비중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지만 인력 수요는 이에 못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 대졸인력 조정을 위한 대규모 대학 구조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노동부는 12일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제5차 국가고용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08~2018년 중장기 인력수급 전망 및 정책방향'을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까지 연평균 경제활동인구 증가분 21만7000명 중 고졸 인력은 3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치고 중졸 이하는 오히려 8만5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전문대졸 이상 인력은 27만명 늘어 경제활동인구 증가폭을 크게 웃돌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2018년 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전문대 이상 고학력자 비중이 전체의 44.0%에 달해 2008년(36.8%)보다 7.2%포인트 오를 전망이다.
때문에 인력시장 신규 수요와 미스매치(수요와 공급의 불일치)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학력 수준별로 보면 전문계고(수요 2만3200명 · 공급 2만3500명)와 대학원(수요 8만7500명 · 공급 8만7500명)은 수급 균형을 유지하겠지만 전문대(수요 13만9000명<공급 16만7000명) 졸업자는 2만8000명,대학(수요 16만1000명<공급 17만8500명) 졸업자는 1만7500명씩의 공급초과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전공별로 보면 정보 · 통신,언론 · 방송 등의 계열은 매년 졸업자수가 해당 분야 인력수요보다 15% 이상 초과할 것으로 예상됐다. 금융부문 전공에서도 경영 · 경제 계열이 10(대학)~15%(전문대)의 초과공급이 발생할 전망이다. 즉 경영 · 경제학을 전공한 100명 중 15명은 직장을 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초과 인력공급이 예상되거나 취업률이 낮은 학과의 정원을 줄이는 등 강력한 대학 구조조정에 나설 계획이다.
고학력화와 함께 저출산 · 고령화의 영향으로 경제활동인구에서 고령층 비중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8년 18.0%에서 2018년 27.2%로 9.2%포인트 늘어날 전망이다. 취업자 수는 연평균 20만8000명 증가해 2018년에는 2565만9000명에 달해 고용률이 60.2%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말 기준 취업자 수는 2357만7000명,고용률은 59.5%다. 산업별 고용구조를 보면 2018년에 취업자의 72.5%가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반면 농림어업 및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각각 4.8%,14.7%로 감소해 선진국처럼 서비스업 중심의 고용구조가 심화될 전망이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