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 "월급에 얹어 분할 지급한 퇴직금은 무효"
입력
수정
근로기준법상 유효한 퇴직금 중간정산이 아니라면 연봉계약을 하면서 근로자의 동의를 받은 '퇴직금 분할 약정'에 따라 퇴직금 조로 돈을 지급했더라도 무효라는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은 또 약정에 따라 근로자가 받은 퇴직금은 임금이 아니라 부당 이득이라고 판단,사용자가 지급해야 할 퇴직금과 근로자가 이미 받은 부당 이득을 상계할 수 있다고 판결했다. 다만 상계 범위는 퇴직금 채권의 절반 초과분으로 제한했다.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민일영 대법관)는 20일 컨설팅 회사인 A사에서 퇴직한 근로자들이 회사를 상대로 낸 퇴직금 청구 소송에서 원심의 원고 패소 부분을 모두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재판부는 "'사용자는 근로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근로기간에 대한 퇴직금을 미리 정산해 퇴직 전 지급할 수 있다'고 규정한 근로기준법 제34조(강행법규)로 인정되지 않는 한 퇴직금 청구권을 근로자가 사전에 포기하게 한다면 무효"라고 밝혔다. 이어 "분할 약정에 따라 사용자가 퇴직금 명목의 돈을 지급했다고 해도 퇴직금이라 할 수 없다"며 "이는 임금에도 해당되지 않는 부당 이득이므로 근로자가 반환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부당 이득과 퇴직금의 상계 여부에 대해서는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퇴직금과 근로자가 돌려줘야 할 부당 이득을 일부 맞교환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다만 "민사집행법상 퇴직금 절반은 압류금지 채권이므로,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계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민일영 대법관)는 20일 컨설팅 회사인 A사에서 퇴직한 근로자들이 회사를 상대로 낸 퇴직금 청구 소송에서 원심의 원고 패소 부분을 모두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법으로 돌려보냈다. 재판부는 "'사용자는 근로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근로기간에 대한 퇴직금을 미리 정산해 퇴직 전 지급할 수 있다'고 규정한 근로기준법 제34조(강행법규)로 인정되지 않는 한 퇴직금 청구권을 근로자가 사전에 포기하게 한다면 무효"라고 밝혔다. 이어 "분할 약정에 따라 사용자가 퇴직금 명목의 돈을 지급했다고 해도 퇴직금이라 할 수 없다"며 "이는 임금에도 해당되지 않는 부당 이득이므로 근로자가 반환해야 한다"고 판결했다. 부당 이득과 퇴직금의 상계 여부에 대해서는 회사가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할 퇴직금과 근로자가 돌려줘야 할 부당 이득을 일부 맞교환할 수 있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다만 "민사집행법상 퇴직금 절반은 압류금지 채권이므로,이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상계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고운 기자 cca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