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경제 리포트] 서울의 관문에서 동북아 관문으로 '인천의 대변신'
입력
수정
송도·청라·영종 삼각편대…수도권 성장동력 이끌어
올해 외자유치 3억4700만弗…작년 실적 이미 초과 달성
IT 인프라·친환경 여건 갖춰…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도시로
인천 송도국제도시 안에 있는 미추홀타워.송도신도시가 한 눈에 내려다 보이는 이곳에서 지난 17일 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UNESCAP) 동북아지역 사무소 개소식이 열렸다. 이곳에서는 같은 날 정운찬 국무총리,놀린 헤이저 유엔 에스캅 사무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 66차 UNESCAP 총회도 개최됐다. 이로써 송도국제도시는 2006년 설립된 유엔 아태정보통신기술교육센터와 2009년 개소한 유엔 재난경감국제전략기구 동북아사무소 및 방재연수원 등 총 7개의 UN 국제기구가 둥지를 틀게 됐다. 송도국제도시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세계가 추구하는 미래도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함으로써 인천의 브랜드 가치와 국제적인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는 방증이다.
인천이 '서울의 관문'에서 '동북아의 관문'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 같은 변신은 5년 연속 '세계 최고의 공항'에 선정된 인천국제공항과 개항 후 127년간 '메이드인 코리아'를 세계로 실어나른 인천항,바다를 메워 조성한 인천경제자유구역(송도 · 청라 · 영종)이 삼각편대를 이루며 이끌고 있다. 여기에다 세계 최대시장으로 꼽히는 13억 인구의 중국,첨단 기술국 일본과 가까운 데다 비행거리로 3시간 안에 인구 100만명 이상 도시만 61개가 있어 인천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는 평가다. 특히 송도국제도시를 바라보는 해외의 시각은 남다르다. 피터 반 레르 유엔 에스캅 동북아지역사무소장은 "송도국제도시는 세계적 공항과 항만 등 지정학적으로 매우 탁월한 조건을 갖춘 전략도시로서 세계 최고의 IT인프라와 공원,친수공간을 비롯한 친환경 생태 등 최고의 여건을 갖추고 있다"며 "유엔 국제기구가 송도에 잇따라 들어서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지난 4월 인천을 방문했던 유럽비교도시연구소의 레오 반 덴 베르구 소장도 "송도는 지식경제를 위한 입지 개발연구에 매우 적합한 사례로 도시경영의 새로운 기준이 되는 세계 최상의 모델"이라고 극찬하기도 했다.
송도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은 구역지정 후 6년간의 1단계 사업을 마무리하고 올해부터 2단계 사업에 본격 돌입했다. 1단계 기간 동안 사장교 중 세계 5위(총연장 기준)로 기록되는 인천대교와 송도국제도시의 핵심인 국제업무단지 개발,송도센트럴파크,올해 말 완공될 동북아트레이드타워(65층),인천타워(151층) 착공 등 핵심 앵커시설 구축에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최근에는 인천의 높아지는 위상만큼 외국인 투자유치도 더욱 활발해졌다. 특히 외국인들의 직접투자(FDI)가 크게 늘고 있어 고무적이라는 평가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20일까지 외자유치실적은 3억4700만달러로 지난해 연간 유치실적(3억900만달러)을 이미 초과 달성했다. 경제자유구역청 개청 이후 최대 실적이다. 올해 유치목표인 7억8300만달러의 44.4%에 달해 목표 달성이 무난할 것으로 낙관하는 분위기다.
지난 18일에는 유럽계 자본인 IDG(International Development Group)사가 영종도 운북복합레저단지에 2014년까지 6800억원을 투자해 유럽형 복합엔터테인먼트인 '리테일 어드벤처파크'를 조성키로 하고 인천시와 투자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정병일 인천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세계 최고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과 동북아 관문인 인천항,미래도시의 새 모델을 제시한 송도국제도시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을 통해 인천이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미래를 낙관만 하기에는 이르다는 지적도 나온다. 풍부한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각종 규제가 투자유치 활성화의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상하이,홍콩,싱가포르 등 동북아의 주변 경쟁도시에 비해 국고지원이 미흡할 뿐 아니라 투자 인센티브가 적고 인 · 허가절차 등이 까다롭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외국인 정주여건의 기본인 외국인병원의 설립 법안과 송도국제학교의 운영 규정 등은 아직도 마련 되지 않은 상태다.
따라서 인천을 포함한 경제자유구역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과감한 재정적 · 행정적 지원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한결 같은 지적이다. 이제는 정부가 나서야 할 차례다.
인천=김인완 기자 i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