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 역단층 운동 진행중…한반도 쓰나미 안심 못해"
입력
수정
지구물리학회 지진논의 본격화최근 하루가 멀다하고 세계 각국에서 지진 소식이 들려온다. 칠레 스페인 아르헨티나 중국 멕시코 인도네시아 페루 등 쉴새없이 들려오는 지진 소식에 가슴을 쓸어내리는 사람들이 많다. 한국도 올해 들어 경북 안동과 경기 시흥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등 예외가 아니다.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와 한국공학한림원 등 전문가 그룹은 최근 심포지엄과 토론회를 연이어 개최하면서 지진에 대한 논의를 본격화했다.
김재관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한반도 지진은 최대 규모 리히터 6.3 이하,피해는 진앙지에 국한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반도의 주변 지진환경은 인도-호주판과 유라시아판의 충돌,그리고 태평양판과 필리핀판의 섭입(subduction)으로 인해 동서 방향에서 압축 작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판 경계 지진이 아니라 판 내부 지진이기 때문에 재현 주기가 수백~수천년으로 길다. 반대로 최대 예상 규모 지진을 논하는 것이 의미 없다는 의견도 있다. 이희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센터장은 "1976년 중국 당산지진,1990년 이란 밤 지진 등 역사적으로 지진이 일어나지 않던 곳에서 갑자기 지진이 일어나 대량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역사기록도 한반도가 지진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각종 역사 기록에 따르면 서기 2년부터 1904년까지 감지된 지진은 1700~2100회에 달한다. 실제 인명이나 가축 피해로 이어진 지진도 약 45회로 집계된다.
소규모 지진해일(쓰나미:tsunami)이 닥칠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동해 심해의 역단층운동과 아무르판의 일본열도 섭입 등으로 인해서다. 실제로 1983년 일본 아키다현 외해 규모 7.7의 지진은 울진 삼척 등에 지진해일을 발생시켜 3명의 인명피해와 4억여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또 1993년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섬 외해에서 동일 규모의 지진이 발생해 삼척 등에 4억여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조용식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적절한 수치모형을 통해 최대 처오름 높이를 결정하고,이에 따른 지진해일 피해가 예상되는 해안선을 따라 예상 범람구역을 설정하거나 경보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국내 지진대책은 걸음마 수준이다. 작년 초부터 관련당국은 지진해일 관측 · 내진보강 등 과제를 추진하기 시작했지만 체계적인 대책은 없다. 내진설계 기준도 일관성이 없어 논란이 많다. 정길호 소방방재청 지진대책총괄 연구원은 "국내 활단층 연구는 원자력발전소 주변에만 국한돼 있어 수도권 등 다른 지역 활단층 존재 여부를 알 수가 없다"며 "주요 기반시설 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전국적 조사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