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오늘 참된 일꾼 제대로 뽑아야 4년 후회않는다
입력
수정
오늘은 앞으로 4년간 16개 시 · 도 및 228개 시 · 군 · 구의 살림과 교육을 책임질 지역 일꾼 3991명을 뽑는 날이다. 다섯 번째 맞는 동시지방선거지만 8명을 한꺼번에 뽑아야 하는 경우는 처음이어서 아직도 누가 어떤 일을 맡기 위해 출마했는지 몰라 당황하는 유권자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광역이나 기초 자치단체장 후보는 그나마 낯이 익지만 교육감 후보나 이들의 교육정책을 심의 · 의결하는 교육의원, 지역구 광역 · 기초의원 후보는 이들이 내건 공약은커녕 얼굴도 모르는 오리무중 속에서 투표장으로 가야할 판이다.
지방선거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16개 광역 단체장은 말할 것도 없고 구청장, 시 · 군 단체장도 막대한 예산권과 인사권,각종 인허가권을 갖고 있어 중앙 정부 못지않게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이다. 교육감 이나 교육의원 또한 우리 자녀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좌우하는 자리여서 선거 결과에 따라 학생의 미래와 국가의 교육경쟁력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서울시 교육감만 하더라도 서울시내 2000여개 초 · 중 · 고교와 140만명의 학생,6만5000명의 교사를 맡아 7조원의 예산을 주무르는 교육 소(小)통령으로 불릴 정도다. 그런 만큼 이들이 어떤 공약을 내걸었는지,자치단체장으로선 실현할 수 없는 허황된 공약으로 유권자들을 현혹시키지 않았는지,납세나 병역 등 국민의 기초 의무는 제대로 이행했는지,과거 비리에 연루된 적은 없는지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 4년 전 뽑은 240여명의 기초 단체장 중 절반가량은 비리 또는 위법 혐의로 기소됐을 정도로 한번 잘못 뽑으면 4년을 후회하게 된다. 우리가 낸 세금의 씀씀이가 이들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가 국정에 대한 중간평가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고,천안함 사태로 인한 북풍(北風)이니,이에 맞선 노풍(盧風)이니 하는 이슈가 제기됐지만 지방선거는 엄연히 지역주민을 더 잘 살게 해줄 수 있는 '참된 일꾼'을 고르는 절차다. 지역주민의 삶과 동떨어진 정치적 구호부터 내세우는 후보자들은 우선적으로 배제되어야 할 이유다.
안타까운 점은 동시지방선거가 처음 치러진 1995년 투표율이 68.4%를 기록한 후 1998년 52.7%, 2002년 48.9%, 2006년 51.6%로 떨어지는등 유권자의 절반이 투표장을 외면하는 현실이다. 이래서는 안된다. 우리 지역의 일꾼을 제대로 뽑아야 삶의 질이 달라지고 민주주의의 뿌리도 튼튼해진다.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는 것이 민주 시민의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라는 얘기다. 그것을 포기하는 무관심은 곧바로 유권자들의 피해로 돌아온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지방선거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16개 광역 단체장은 말할 것도 없고 구청장, 시 · 군 단체장도 막대한 예산권과 인사권,각종 인허가권을 갖고 있어 중앙 정부 못지않게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이다. 교육감 이나 교육의원 또한 우리 자녀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지를 좌우하는 자리여서 선거 결과에 따라 학생의 미래와 국가의 교육경쟁력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서울시 교육감만 하더라도 서울시내 2000여개 초 · 중 · 고교와 140만명의 학생,6만5000명의 교사를 맡아 7조원의 예산을 주무르는 교육 소(小)통령으로 불릴 정도다. 그런 만큼 이들이 어떤 공약을 내걸었는지,자치단체장으로선 실현할 수 없는 허황된 공약으로 유권자들을 현혹시키지 않았는지,납세나 병역 등 국민의 기초 의무는 제대로 이행했는지,과거 비리에 연루된 적은 없는지를 꼼꼼히 따져야 한다. 4년 전 뽑은 240여명의 기초 단체장 중 절반가량은 비리 또는 위법 혐의로 기소됐을 정도로 한번 잘못 뽑으면 4년을 후회하게 된다. 우리가 낸 세금의 씀씀이가 이들에게 달려 있기 때문이다.
이번 선거가 국정에 대한 중간평가적인 성격을 갖고 있는 것 또한 부인할 수 없고,천안함 사태로 인한 북풍(北風)이니,이에 맞선 노풍(盧風)이니 하는 이슈가 제기됐지만 지방선거는 엄연히 지역주민을 더 잘 살게 해줄 수 있는 '참된 일꾼'을 고르는 절차다. 지역주민의 삶과 동떨어진 정치적 구호부터 내세우는 후보자들은 우선적으로 배제되어야 할 이유다.
안타까운 점은 동시지방선거가 처음 치러진 1995년 투표율이 68.4%를 기록한 후 1998년 52.7%, 2002년 48.9%, 2006년 51.6%로 떨어지는등 유권자의 절반이 투표장을 외면하는 현실이다. 이래서는 안된다. 우리 지역의 일꾼을 제대로 뽑아야 삶의 질이 달라지고 민주주의의 뿌리도 튼튼해진다. 적극적으로 투표에 참여하는 것이 민주 시민의 당연한 권리이자 의무라는 얘기다. 그것을 포기하는 무관심은 곧바로 유권자들의 피해로 돌아온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