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민영화 스타트] (3) 정부 '과점주주 방식 매각' 등 다양한 카드 고민중
입력
수정
우리금융 지분 56.9% 보유…시장상황따라 방법 달라질 듯정부는 우리금융에 투입된 공적자금을 회수하기 위해 기업공개(IPO),신주인수권부사채(BW) 행사 및 전환사채(CB)의 주식전환,블록세일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해 왔다. 이 과정을 거쳐 정부 지분율이 100%에서 56.9%로 낮아졌다.
나머지 56.9%의 지분을 팔기 위한 방법으로 거론되는 것은 크게 다섯 가지다. 잔여 지분의 일괄매각과 다른 금융지주회사와 합병한 뒤 매각하는 방법이 우선 거론된다. 거래기업 연기금 외국인투자자 재무적투자자 국부펀드 등에 각각 5~10%의 지분을 분산해 파는 방법도 검토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우리금융은 과점주주 형태로 경영된다. 블록세일 방식으로 기관투자가에 파는 방안도 거론된다. 커먼웰스처럼 국민주 방식으로 매각하는 방안도 생각할 수 있다. 정부는 특정 방식을 정하지 않고 인수를 희망하는 주체들이 제시하는 방안을 받아본 뒤 매각 방법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국민주 방식은 어느 정도 할인해주는 것이 불가피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라는 취지에 어울리지 않는 만큼 일단 후순위로 밀어놓고 있는 분위기다.
네 가지 방안은 모두 장단점을 갖고 있다. 1대 주주에게 지분을 모두 팔면 경영권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외국인 외에는 인수후보가 없다. 합병방식은 공적자금 회수가 늦어진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블록세일은 '주인 없는 은행'이 되고 만다는 점이 걸린다. 4~5명의 과점주주를 형성하기 위해 5~10%씩 매각하는 방안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얻지 못하는 데다 주인이 없기는 마찬가지라는 게 단점이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우리금융 민영화 방식은 여러 가지 방법이 혼합될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27%가량을 블록세일 형태로 매각하고 나머지 30%를 다른 형태로 매각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특정 주체에 팔아 확실한 1대 주주를 만들어 주거나,다른 금융지주회사와 합칠 수 있다. 아니면 5~10%씩 과점주주에게 팔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각각의 매각 방법이 가진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변수는 인수주체와 시장상황이다. 시장이 좋아 인수자가 많으면 선택의 폭은 넓어진다. 반대로 인수자가 나서지 않으면 정부는 마지막 방법으로 국민주 매각 방식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정부의 의지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우리금융에서 완전히 손을 뗄 의지가 있느냐와 우리금융 민영화 후 금융산업을 어떻게 가지고 갈 것인지에 따라 다양한 매각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영춘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