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지펀드 매니저들, 수상한 냄새가 나
입력
수정
대출 공시전 해당주식 공매도기업이 헤지펀드로부터 대출받을 경우 돈을 빌린 사실이 공개되기 직전에 해당 기업 주식을 대상으로 한 공매도(쇼트셀링)가 급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내부자 정보를 이용해 불법거래를 하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될 수 있는 결과다.
내부자 정보로 불법거래 의혹
5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005년 1월과 2007년 7월 사이 헤지펀드로부터 돈을 빌린 105개 미국 기업의 주식거래에서 대출 사실이 공표되기 적전 5일간 해당 기업 주식에 대한 공매도가 이전 60일과 비교해 평균 74.8% 급증했다. 신규 대출이 아니라 기존 대출을 갱신할 때도 대출 공개 이전에 비해 공매도가 평균 28.4% 증가했다. WSJ는 '금융경제학 저널'에 게재 예정인 논문을 인용,보도했다. 반면 기업들이 은행으로부터 대출받았을 때는 공매도 거래량에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은행 대출을 연장한 경우엔 오히려 발표 직전 공매도가 17.4% 감소했다.
기업이 돈을 빌린 사실이 발표된 후에는 공매도 증가를 예상할 수 있다. 기업의 부채가 늘어나 그만큼 리스크가 커졌으니 익스포저(위험노출액)를 헤지하기 위해 공매도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독 헤지펀드에서 돈을 빌릴 경우 사실 발표 이전에 공매도가 급증한 것은 헤지펀드 매니저들이 비공개 정보를 이용해 거래했거나 이런 정보를 다른 투자자들에게 흘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4명의 논문 저자 가운데 한 명인 데바시 낸디 캐나다 요크대 경영대학 교수는 "공매도를 하는 것이 헤지펀드인지를 확인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연구 결과는 헤지펀드가 대출을 할 때 규제가 필요하다는 중요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헤지펀드들이 관여한 내부자거래 사건들을 조사해왔지만 대출 관련 내부정보를 이용한 케이스가 적발된 적은 거의 없었다.
박성완 기자 ps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