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 후 돈 흐름은] 주택시장 '설상가상'…매수세 실종

추가 금리인상 촉각
한국은행이 지난 9일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하자 부동산 시장은 적지 않은 충격을 받고 있다. 주택 수요자들이 기준 금리 인상을 정부의 출구 전략 신호탄으로 받아들이면서 매수세가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지난 22일 발표하기로 했던 정부의 부동산 대책도 무기 연기돼 투자심리는 더욱 냉각되고 있다.

악재가 산적한 부동산 시장은 추가적인 금리인상 우려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금융시장에선 단계적인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공동락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다는 뜻을 비추면서 금리 인상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연내 두 차례 정도 0.25%포인트씩 올려 연말엔 기준금리가 2.75%로 올라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대출자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가 커진다. 여기에 대출 한도까지 줄어들게 된다.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선 DTI가 적용되고 있는데,이는 자기 소득에서 연간 원리금 부담을 일정한 수준 이하로 제한한 것이다. 이자가 많아지면 대출 한도도 감소하게 된다는 얘기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현재 연 4.77%(코픽스 6개월 변동 중간금리 기준)에서 연 5.52%로 오르면 서울 강남3구(강남 · 서초 · 송파) 연봉 7000만원 소득자의 대출 한도는 3억2500만원에서 3억800만원으로 1700만원가량(거치기간 3년 · 20년간 원리금 균등분할상환 조건) 줄어든다.

이자 부담도 큰 데다 대출한도까지 줄어들자 신규 분양시장과 기존 주택시장은 썰렁한 모습이다. 대형 건설사 관계자는 "중도금과 잔금을 무이자로 해준다는 조건을 걸어도 입주 후엔 주택담보대출로 전환돼 계약자가 이자 부담을 해야 한다는 사실때문에 청약을 망설이는 수요자가 많아졌다"고 말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D공인 관계자는 "재건축 투자자들은 대출을 받아 사는 경우가 많아서 금리에 가장 민감한데 금리가 더 오를 것으로 보이자 잠재 매수자들의 문의마저 끊겼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김재후 기자 h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