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내년부터 다시 오른다"-신영證
입력
수정
부동산 불패신화의 불씨가 여전히 살아 있다는 증권사 분석보고서가 나와 주목된다.
건설경기 침체와 맞물려 집값 하락세가 뚜렷해 지고 있는 시점에서 나온 의견이어서 더욱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김재홍 신영증권 이코노미스트는 2일 특별보고서를 통해 "주택부진이 추세를 형성하는 기조화의 길을 걷지는 않을 것"이라며 "당분간 심리적 위축은 불가피하겠지만 내년부터는 주택시장이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입지별로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현재 집값이 고점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는 2001년 이후 주택가격 상승세가 비이성적이지 않았고, 여전히 서울 중심부의 공급은 타이트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아울러 부동산 시장 안정화대책이 불가피한 상황인 만큼 정부의 역할도 남아있다는 점을 꼽았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2001년 이후 각 자산군의 수익률 추세는 주식, 채권, 전국주택가격 순이었다"며 "환금성과 위험 특성을 감안할 때 자연스런 흐름이었다"고 평가했다.최근 10년 간 한국 자산가격의 상승세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다른 자산군에서도 나타난 공통된 현상이었다는 진단이다.
특히 부동산 시장의 상대적인 밸류에이션(가치대비 평가) 부담이 점차 줄고 있다는 점은 부동산경기의 개선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단초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택보급률과 인구 1000명당 주택수를 감안하면 서울 주택공급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며 "일본의 주택보급률이 110%를 웃돌면서 주택가격이 하락했던 과거 경험도 아직 한국 부동산의 추세적인 하락을 예상하기 어렵게 만드는 점"이라고 설명했다.LH공사의 택지공급 축소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 상승에 따른 대출 축소, 미분양 적체 등에 따른 건설업체의 주택사업 축소 등도 앞으로 국내 주택시장의 공급을 타이트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분석했다.
그는 또 "한국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정부정책"이라며 "높은 부동산 보유 비중을 감안할 때 부동산 시장안정대책이 불가피한 상황이고, 여기에 안정적인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은 정부정책을 지지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
건설경기 침체와 맞물려 집값 하락세가 뚜렷해 지고 있는 시점에서 나온 의견이어서 더욱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김재홍 신영증권 이코노미스트는 2일 특별보고서를 통해 "주택부진이 추세를 형성하는 기조화의 길을 걷지는 않을 것"이라며 "당분간 심리적 위축은 불가피하겠지만 내년부터는 주택시장이 점차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입지별로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현재 집값이 고점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그는 2001년 이후 주택가격 상승세가 비이성적이지 않았고, 여전히 서울 중심부의 공급은 타이트하다는 점을 그 근거로 제시했다. 아울러 부동산 시장 안정화대책이 불가피한 상황인 만큼 정부의 역할도 남아있다는 점을 꼽았다.
김 이코노미스트는 "2001년 이후 각 자산군의 수익률 추세는 주식, 채권, 전국주택가격 순이었다"며 "환금성과 위험 특성을 감안할 때 자연스런 흐름이었다"고 평가했다.최근 10년 간 한국 자산가격의 상승세는 부동산뿐만 아니라 다른 자산군에서도 나타난 공통된 현상이었다는 진단이다.
특히 부동산 시장의 상대적인 밸류에이션(가치대비 평가) 부담이 점차 줄고 있다는 점은 부동산경기의 개선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단초라고 강조했다.
그는 "주택보급률과 인구 1000명당 주택수를 감안하면 서울 주택공급은 아직 부족한 상황"이라며 "일본의 주택보급률이 110%를 웃돌면서 주택가격이 하락했던 과거 경험도 아직 한국 부동산의 추세적인 하락을 예상하기 어렵게 만드는 점"이라고 설명했다.LH공사의 택지공급 축소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율 상승에 따른 대출 축소, 미분양 적체 등에 따른 건설업체의 주택사업 축소 등도 앞으로 국내 주택시장의 공급을 타이트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분석했다.
그는 또 "한국 부동산 시장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정부정책"이라며 "높은 부동산 보유 비중을 감안할 때 부동산 시장안정대책이 불가피한 상황이고, 여기에 안정적인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은 정부정책을 지지하는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한경닷컴 변관열 기자 b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