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와이파이론 역부족…데이터 하이웨이 구축"
입력
수정
데이터전용 주파수, 6 Sector, 펨토셀 적용해 용량 6배 UP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정만원)은 19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설명회를 갖고 모바일 기기 확산에 따라 증가가 예상되는 데이터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데이터 하이웨이’(Data Highway)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장용 SK텔레콤 네트워크 부문장은 이 자리에서 “전국에 100만 국소를 구축해도 전국 면적의 1% 미만 밖에 커버할 수 없는 와이파이는 주려 통신망이 될 수 없다”면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이동성’ ‘전국 커버리지’, ‘안정성’ ‘보안성’”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실외 및 교통수단까지 포함하는 Large Area, 상업·공공 시설 등의Middle Area, 직장·학교·가정 등의 Small Area 등 커버리지 단위별로 세분화한 네트워크 강화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 실외·교통수단에 데이터전용 주파수 도입과 LTE 조기 상용우선 SK텔레콤은 WCDMA의 데이터 수용 용량을 대폭 늘리고 세계 주요 사업자가 무선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구축을 서두르고 있는 LTE를 조기 상용화하기로 했다.
WCDMA에서는 현재 4개의 FA(Frequency Assignment) 중 1FA를 데이터 전용(Data Prefered FA)로 전환해 기존 음성과 데이터 혼용 시보다 데이터 수용용량을 2배로 늘렸다.
또 올해 하반기에는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WCDMA용 주파수를 활용해 2개 FA를 구축하고 데이터 전용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SK텔레콤은 전체적으로 현재 대비 이동통신망에서 6배의 데이터 수용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경쟁사 대비 3배 이상 많은 수준이라고 SK텔레콤은 밝혔다. SK텔레콤은 또 미국의 버라이즌, 일본의 NTT 도코모, 유럽의 T-모바일 등 세계 주요 이통사가 중장기 전략으로 선택해 무선데이터의 주력 망으로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2011년 하반기에 국내 최초로 상용화 하고 2013년에는 전국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중장기적으로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망으로 업그레이드 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LTE와 LTE-A는 세계 대부분의 Major 사업자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 및 경쟁 활성화에 따른 경쟁력 있는 통신장비와 단말기 공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 상업·공공시설에 6 Sector 적용, 용량 2배 ↑SK텔레콤은 FA 증설 등을 통한 전체 이동통신망 용량 확대에 더해 인구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지국 커버리지 규모에서 집중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6 Sector Solution’을 하반기부터 적용키로 했다.
‘6 Sector Solution’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이 3 Sector로 운용하는 방식을 기술적으로 개선한 방식으로, 추가적인 Sector 분할을 통해 6 Sector로 운용, 기존 3 Sector 기지국 대비 2배 용량 확대가 가능한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서울·수도권·광역시 등 인구밀집 지역 1천 국소에 6 Sector Solution을 우선 적용하고, 고객의 이용패턴에 따른 데이터 수요를 고려해 추가 확대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또 와이브로의 커버리지와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활용도를 높이기로 했다. 우선 와이브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FRF=3 기술’을 이용해 속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FRF=3 기술은 Sector 별로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Sector별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 와이브로 고객 체감 속도를 4Mbps(기존 2.7Mbps)로 높이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현재 FRF=3 기술을 수도권에 적용 했고, 타 지역에까지 확장 적용하고 있다. 또 버스, 지하철 등 고객이 이동 중에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와이브로를 이용한 모바일 와이파이존 5천 국소를 올해 말까지 구축하고 WCDMA(HSPA+)와 와이브로 신호를 와이파이신호로 변환해주는 개인용 DBDM(Dual Band Dual Mode) 브릿지를 10월 중 국내 최초로 출시할 예정이다.
▲ 직장·학교·가정 등에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활용
SK텔레콤은 이와 함께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서도 이동성을 필요로 하는 소규모 지역의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데이터 펨토셀(Data Femtocell)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펨토셀은 가정·직장·학교 등에 설치된 일반적인 초고속 인터넷 회선에 펨토셀 AP장비를 연결하는 간단한 설치만으로, 해당 지역 내 데이터 트래픽을 기지국 신호와 별도로 수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기지국 커버리지 내 특정 사이트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수용, 기지국 내 타 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 안정성도 기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데이터 펨토셀을 하반기부터 구축하기 시작해 내년 말까지 약 5천 ~ 1만 국소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데이터 펨토셀은 좁은 지역의 데이터 수요를 수용한다는 측면에서 와이파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이동전화 수준의 보안성에 품질과 장애관리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이 소규모 지역에서 데이터트래픽 수용을 위해 연초 1만 국소 구축 계획을 발표한 와이파이는 현재 약 7천 5백여 국소가 구축 완료 됐고 9월까지 조기에 완료할 계획이다. 추가로 구축키로 한 5천 국소의 모바일 와이파이도 연말까지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ung@hankyung.com
SK텔레콤(대표이사 사장 정만원)은 19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설명회를 갖고 모바일 기기 확산에 따라 증가가 예상되는 데이터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데이터 하이웨이’(Data Highway)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장용 SK텔레콤 네트워크 부문장은 이 자리에서 “전국에 100만 국소를 구축해도 전국 면적의 1% 미만 밖에 커버할 수 없는 와이파이는 주려 통신망이 될 수 없다”면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은 ‘이동성’ ‘전국 커버리지’, ‘안정성’ ‘보안성’”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은 실외 및 교통수단까지 포함하는 Large Area, 상업·공공 시설 등의Middle Area, 직장·학교·가정 등의 Small Area 등 커버리지 단위별로 세분화한 네트워크 강화전략을 추진키로 했다.
▲ 실외·교통수단에 데이터전용 주파수 도입과 LTE 조기 상용우선 SK텔레콤은 WCDMA의 데이터 수용 용량을 대폭 늘리고 세계 주요 사업자가 무선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구축을 서두르고 있는 LTE를 조기 상용화하기로 했다.
WCDMA에서는 현재 4개의 FA(Frequency Assignment) 중 1FA를 데이터 전용(Data Prefered FA)로 전환해 기존 음성과 데이터 혼용 시보다 데이터 수용용량을 2배로 늘렸다.
또 올해 하반기에는 정부로부터 할당받은 WCDMA용 주파수를 활용해 2개 FA를 구축하고 데이터 전용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SK텔레콤은 전체적으로 현재 대비 이동통신망에서 6배의 데이터 수용 용량을 확보하게 된다. 이는 경쟁사 대비 3배 이상 많은 수준이라고 SK텔레콤은 밝혔다. SK텔레콤은 또 미국의 버라이즌, 일본의 NTT 도코모, 유럽의 T-모바일 등 세계 주요 이통사가 중장기 전략으로 선택해 무선데이터의 주력 망으로 도입을 서두르고 있는 LTE(Long Term Evolution)를 2011년 하반기에 국내 최초로 상용화 하고 2013년에는 전국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중장기적으로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망으로 업그레이드 할 방침이다. SK텔레콤은 “LTE와 LTE-A는 세계 대부분의 Major 사업자가 도입을 추진하고 있어, 규모의 경제 및 경쟁 활성화에 따른 경쟁력 있는 통신장비와 단말기 공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 상업·공공시설에 6 Sector 적용, 용량 2배 ↑SK텔레콤은 FA 증설 등을 통한 전체 이동통신망 용량 확대에 더해 인구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한 기지국 커버리지 규모에서 집중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6 Sector Solution’을 하반기부터 적용키로 했다.
‘6 Sector Solution’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기지국이 3 Sector로 운용하는 방식을 기술적으로 개선한 방식으로, 추가적인 Sector 분할을 통해 6 Sector로 운용, 기존 3 Sector 기지국 대비 2배 용량 확대가 가능한 기술이다.
SK텔레콤은 서울·수도권·광역시 등 인구밀집 지역 1천 국소에 6 Sector Solution을 우선 적용하고, 고객의 이용패턴에 따른 데이터 수요를 고려해 추가 확대 적용을 검토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또 와이브로의 커버리지와 성능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활용도를 높이기로 했다. 우선 와이브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FRF=3 기술’을 이용해 속도를 개선할 계획이다.
FRF=3 기술은 Sector 별로 동일 주파수를 사용하던 기존 방식에 비해, Sector별 다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 와이브로 고객 체감 속도를 4Mbps(기존 2.7Mbps)로 높이는 기술이다.
SK텔레콤은 현재 FRF=3 기술을 수도권에 적용 했고, 타 지역에까지 확장 적용하고 있다. 또 버스, 지하철 등 고객이 이동 중에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와이브로를 이용한 모바일 와이파이존 5천 국소를 올해 말까지 구축하고 WCDMA(HSPA+)와 와이브로 신호를 와이파이신호로 변환해주는 개인용 DBDM(Dual Band Dual Mode) 브릿지를 10월 중 국내 최초로 출시할 예정이다.
▲ 직장·학교·가정 등에 초소형 기지국인 '펨토셀' 활용
SK텔레콤은 이와 함께 기지국 커버리지 내에서도 이동성을 필요로 하는 소규모 지역의 데이터 트래픽 수용을 위해 데이터 펨토셀(Data Femtocell)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펨토셀은 가정·직장·학교 등에 설치된 일반적인 초고속 인터넷 회선에 펨토셀 AP장비를 연결하는 간단한 설치만으로, 해당 지역 내 데이터 트래픽을 기지국 신호와 별도로 수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기지국 커버리지 내 특정 사이트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데이터 트래픽을 안정적으로 수용, 기지국 내 타 지역의 이동통신 서비스 안정성도 기할 수 있게 된다.
SK텔레콤은 데이터 펨토셀을 하반기부터 구축하기 시작해 내년 말까지 약 5천 ~ 1만 국소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데이터 펨토셀은 좁은 지역의 데이터 수요를 수용한다는 측면에서 와이파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지만 이동전화 수준의 보안성에 품질과 장애관리가 가능한 것이 장점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한편 SK텔레콤이 소규모 지역에서 데이터트래픽 수용을 위해 연초 1만 국소 구축 계획을 발표한 와이파이는 현재 약 7천 5백여 국소가 구축 완료 됐고 9월까지 조기에 완료할 계획이다. 추가로 구축키로 한 5천 국소의 모바일 와이파이도 연말까지 구축 완료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권민경 기자 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