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 크기 3차원 레이저 발생장치 개발
입력
수정
박홍규 고대 교수 "플라즈몬 활용"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들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금속 나노구조와 빛의 상호작용)에 관한 논문을 잇따라 발표했다.
주진수 교수도 유-무기 금속 접합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프랑스 국립학술연구원(CNRS)과 함께 표면 플라즈몬 공명 현상을 이용해 3차원 나노 크기 레이저 발생장치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 레터스' 온라인 속보에 게재됐다. 플라즈몬은 금속 내 자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진동하는 현상이며, 표면 플라즈몬 공명은 나노 구조의 금속에서 빛의 전자기장과 플라즈몬이 짝지어지면서 광흡수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진은 광학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은 나노 구조체를 제작한 후 여기에서 발생하는 레이저 빛을 영하 265도의 극저온에서 20도의 상온까지 온도를 바꿔가며 광학적 특성을 분석했다. 이 실험을 통해 레이저 빛이 표면 플라즈몬에 의한 현상임을 규명했다. 연구진이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통해 구현한 3차원 극미세 나노 레이저는 반도체를 구성하는 광소자를 높은 집적도로 구현하는 원천 기술이라는 점에 의미가 있다. 박 교수는 "손톱보다 작은 컴퓨터 등 집적도가 높은 미래 컴퓨터 개발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표면 플라즈몬 공명을 이용해 나노 크기 유기 플라스틱에 나노 크기 무기 금속을 접합한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나노 구조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 성과는 영국 왕립화학회의 '화학회 총설'에 실렸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구조체가 기존 나노 크기 발광 플라스틱에 비해 발광 효율이 최대 300배 높다고 설명했다. 주 교수는 "향후 광전자 소자에 응용하면 낮은 전력으로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신개념 소자를 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