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船 대형화 경쟁…한국 조선 '싹쓸이 수주' 나선다

세계 최대 선사 머스크…이달 1만 8000TEU급 발주
탄소 배출규제 실시 예고에 선박 '덩치 키우기' 본격화
에너지 절감 초대형船 제작…한국 업체들이 독보적 기술

세계 최대 컨테이너 선사인 AP몰러머스크가 이달 초 1만6000TEU급(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한 개를 실을 수 있는 공간) 컨테이너선을 발주할 것으로 알려지자 세계 조선 · 해운업계는 크게 술렁였다. 규모가 길이 400m,폭 57m로 기존 선박보다 15%가량 크기 때문이었다. 이것은 '규모의 경쟁'으로 가는 전조에 불과했다. 이번 입찰에 참여한 조선업체들 대부분이 응찰 서류에 컨테이너선 크기를 1만8000TEU급으로 써 넣은 것으로 알려졌다. 역사상 최대 규모다.

컨테이너선의 크기가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고 있다. 2000년 초 나온 선박의 최대치가 7200TEU급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10년 새 두 배가량 커진 셈이다. ◆탄소배출 이슈가 컨테이너선 규모 키워

글로벌 조선 · 해운업체가 주목하는 것은 '규모의 경쟁'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는 점이다. 1980년대만 해도 아무리 커봐야 컨테이너선은 4400TEU급 정도였다. 1만TEU 컨테이너선 시대를 연 것도 2000년대 중반께다. 두 배 정도 크기를 키우는데 20년가량의 세월이 필요했다. 국내 1위이자 글로벌 컨테이너 업체 '톱10'에 속하는 한진해운도 지난 6월 국내 업계 처음으로 1만TEU급 컨테이너선을 확보했다.

하지만 2~3년 전부터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중국 CSCL이 2008년 삼성중공업에 1만3300TEU급을 발주하면서 포문을 열었고,머스크도 당시 1만4900TEU급을 확보했다고 발표했다. 한술 더 떠 머스크도 이달 말 1만8000TEU급을 발주,연말에 최종 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머스크가 노리는 것은 뭘까. 경쟁관계에 있는 해운업체들뿐만 아니라 조선업체들도 이 물음에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탄소배출 규제에서 해답을 찾는다. 국제해사기구는 앞으로 1~2년 내 선종별 탄소 배출 기준을 제시,기준치를 초과하면 상당한 벌금을 물릴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업체 관계자는 "배의 크기를 1만8000TEU급으로 키우더라도 1만2000TEU급에 쓰던 엔진을 장착하면 전체적인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최고 속도면에선 불리할 수 있지만 정속으로 저속 운항을 하면 동일한 연료를 소비하면서도 커진 선박 규모 덕분에 훨씬 많은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해운사 규모의 경쟁,조선업체 희색컨테이너선의 규모를 키움으로써 해운업체들은 운임료 주도권이란 또 하나의 카드를 손에 쥘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조선업체들도 희색이다. 시황 확대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계산에서다. 이석제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아직까진 컨테이너 시황이 공급 초과 상태이기 때문에 선박 가격이 낮은 편"이라며 "선박 온실가스 규제에 앞서 머스크가 선제 공격을 한 것이고,조만간 컨테이너선사 간의 무제한 경쟁이 시작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싱가포르 선사인 NOL이 대표적 사례다. 대형선 위주로 선단 개편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 NOL은 140여 척의 선단 가운데 80%가량을 6000TEU급 이하 중소형 컨테이너선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달 초 1만500TEU급 선박 2척을 대우조선해양에 발주한 것도 이 같은 배경에서다. 이 연구원은 "초대형 선박에 다양한 에너지 절감 장치들을 장착할 수 있는 조선소는 현재로선 한국 조선업체뿐"이라며 "친환경 선박 이슈가 전면으로 부상하게 되면 국내 조선사들이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이 세계 1위 조선 국가로 부상하긴 했지만 올 상반기 기준으로 벌크선이 전체 건조량의 50% 이상을 차지했고,컨테이너선도 대부분 6000TEU급 이하(12%)다. 머스크의 1만8000TEU급 컨테이너선만 해도 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현대중공업 등 국내 조선사 위주로 응찰 자격이 주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