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물가 급등, 단기대응보다 구조적 안정 대책을
입력
수정
추석을 앞두고 물가 오름세가 심상치 않다. 특히 수요가 많은 신선식품 가격이 폭등, 일반 물가까지 자극하지 않을까 걱정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2.6%에 그쳤으나 채소 과일 생선 등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무려 20%나 급등했다. 이상 기온으로 작황이 나쁜 것이 가장 큰 원인이지만 상승폭이 너무 크고,게다가 태풍 피해로 과일 채소류 등의 가격은 앞으로 더 뛰어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어제 서둘러 관계부처 합동으로 서민물가 안정대책을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물가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 대책은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에너지, 공공요금, 교육 및 통신비, 개인서비스요금 등 5개 항목에 대해 공급을 확대, 수급을 안정시키고 불공정행위를 집중 점검하는 한편 할당관세를 적용해 가격안정을 도모한다는 게 골자다. 또 성수품 15개와 개인서비스요금 6개 등 특별 점검품목 21개를 선정해 20일까지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이들 대책은 매년 내놓는 것과 별로 달라진 점이 없다. 정부가 개별 품목 물가를 직접 통제할 수 없는 마당에 뾰족한 대책이 나오기 어려운 탓이다. 물가안정 대책이 '물량 확보와 가격인하 유도 내지는 권고' 위주로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결국 근본적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단기대책보다는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어제 중장기적으로 시장경쟁 촉진, 유통구조 효율화, 소비자 감시 강화 등을 통해 물가구조를 선진화하기로 한 것은 그런 점에서 옳은 방향이다. 다만 이 역시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없으면 뜬구름 잡는 식이 될 수밖에 없다. 좀 더 세부적인 목표를 세우고 추진 일정까지 짜는 등 치밀한 준비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
정부가 어제 서둘러 관계부처 합동으로 서민물가 안정대책을 발표한 것도 이 같은 물가 상승세가 예사롭지 않기 때문이다. 정부 대책은 농축수산물 및 가공식품, 에너지, 공공요금, 교육 및 통신비, 개인서비스요금 등 5개 항목에 대해 공급을 확대, 수급을 안정시키고 불공정행위를 집중 점검하는 한편 할당관세를 적용해 가격안정을 도모한다는 게 골자다. 또 성수품 15개와 개인서비스요금 6개 등 특별 점검품목 21개를 선정해 20일까지 매일 점검하기로 했다. 이들 대책은 매년 내놓는 것과 별로 달라진 점이 없다. 정부가 개별 품목 물가를 직접 통제할 수 없는 마당에 뾰족한 대책이 나오기 어려운 탓이다. 물가안정 대책이 '물량 확보와 가격인하 유도 내지는 권고' 위주로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결국 근본적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단기대책보다는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가 어제 중장기적으로 시장경쟁 촉진, 유통구조 효율화, 소비자 감시 강화 등을 통해 물가구조를 선진화하기로 한 것은 그런 점에서 옳은 방향이다. 다만 이 역시 구체적인 실행계획이 없으면 뜬구름 잡는 식이 될 수밖에 없다. 좀 더 세부적인 목표를 세우고 추진 일정까지 짜는 등 치밀한 준비를 해나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