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미스터리] 한은 9일 금통위 개최…기준금리 추가인상에 무게

물가 불안요인 많아
오는 9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에 시장 참가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기준금리를 한 차례 더 올리면서 지난 7월에 이어 '징검다리 식 인상 궤도'에 들어설지,아니면 지난달처럼 안팎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두 달 연속 동결할지를 결정하는 회의이기 때문이다.

현재로선 추가 인상 쪽에 조금 더 무게가 실리는 분위기다. 생산 물가 고용 등 여러 지표의 흐름이 '금리 정상화'가 필요하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기 때문이다. 물가의 경우 정부가 발표하는 지표물가는 안정세이지만 기상 악화에 따른 국제 곡물가격 상승,국내 신선식품 가격 급등 등 도처에 불안 요인이 산재해 있다.

8월 말 발표된 산업생산지표도 공장 가동률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 가계부채도 계속 불어나고 있다. 특히 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이 가계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진 점도 기준금리를 올려 부채 증가를 억눌러야 한다는 견해에 힘을 싣는다.

여기에다 연말까지 몇 달 남지 않은 만큼 이달에도 동결하면 금리를 추가로 올릴 타이밍을 놓칠 수도 있다. 한은 내부에선 이미 연 2%대의 기준금리가 우리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 대비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라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김중수 한은 총재도 지난달 금통위 회의 직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연 2.25%의 기준금리가 적절한 수준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한 바 있다"고 상기시키는 방법으로 조만간 금리 인상을 단행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고용 측면에서도 올 들어 월별 취업자 수의 증가 폭(작년 동기 대비)이 커지는 추세다. 물론 8월의 금리동결 이유로 제시했던 미국 등 선진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가시지 않은 만큼 금리를 두 달 연속 동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여기에다 국내 지표경기와 달리 체감경기가 덜 회복되고 있는 점,가계와 중소기업 대출의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점 등도 부담 요인이다. 민간 연구소 일각에선 한은이 금리인상 명분으로 내세우는 '물가불안 우려'에 대해 한은이 과도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박준동 기자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