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채소류 물가 비상, 장기적 안정대책 서둘러야

식탁물가의 잣대인 신선식품 가격이 무려 40%가 넘는 폭등세를 보이는 등 물가비상이 걸렸다. 통계청에 따르면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6% 올라 지난해 4월 3.6%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5.5%나 상승했고 전월 대비로도 19.5%가 뛰었다. 상추는 전년 동월에 비해 233.6%,호박 219.9%,열무 205.6%,배추 118.9%,마늘 101.1%,파 102.9%,무 165.6%,시금치는 151.4%나 급등했다. 거의 모든 야채류가 최소 2~3배 올랐다는 얘기로 가히 '농산물 가격 쇼크'라고 할 만하다.

기본적 먹을거리인 채소류 가격 급등은 바로 서민들의 가계 부담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점에 비춰 보면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더욱이 김장철을 맞아 무 배추 등의 수요가 급증하면 농산물 물가대란이 일어나지나 않을 지 걱정이다. ?i정부는 "일시적으로 기후와 작황이 안 좋아 농산물 가격이 올라가 물가가 크게 뛰었다"면서 "이달 중순부터 제철 채소가 나오면 물가가 서서히 내려갈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봄철 저온현상에 여름 폭염, 폭우와 태풍 등의 영향이 컸다는 해석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무,배추에 대한 긴급할당관세를 추진하고 농수산물유통공사를 통해 무,배추를 중국에서 직수입해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시도할 방침이라고 한다. 또 농협 계약재배물량 확대, 월동 배추 조기 출하 등을 통해 공급 물량 확대를 통한 수급 안정을 도모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 기후가 급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앞으로도 불규칙한 날씨로 인한 농산물 작황 악화와 그에 따른 신선식품 가격 고공행진이 상시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단기적인 수급안정책도 필요하지만 좀 더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물가안정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얘기다. 물가 얘기가 나올 때마다 반복되는 주문이지만 시장경쟁 촉진,농산물 유통구조 개혁과 직거래 장터 활성화, 품종개량, 소비자 감시 강화 등을 체계적으로 진행하는 것 외에는 뾰족한 대책이 없다.

물론 지난 7월 기준금리 인상 후 8~9월 연속 금리를 동결한 한국은행이 이달에 기준금리를 다시 올리면 인플레이션 압력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최근 물가상승은 신선식품 공급부족이 주 요인이라는 점에서 금리정책 대응으로는 한계가 있다. 금리결정에는 또 글로벌 경기와 국내 경기가 동시에 둔화조짐을 보이고 있다는 점도 감안할 필요 또한 크다.

거듭 강조하지만 기후 변화와 신선식품 가격 급등은 이제 하나의 현상으로 고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속속 대두되고 있다. 단순한 물가 차원을 넘어 안정적인 먹을거리 확보 차원에서도 이에 대한 구조적 대응을 서둘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