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환율전쟁' 반사이익…한국 주가 얼마나 더 오를까
입력
수정
글로벌 환율전쟁이 날로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미국 하원은 환율제재법을 통과시켜 환율갈등이 무역분쟁으로 번질 수 있는 근거도 마련했다.
각국 간 통화 마찰 소지는 항상 존재하지만 이번 환율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됐던 것은 지난 8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다. 이 회의를 계기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국채 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정책을 의외로 강하게 추진하면서 시장 금리도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위기 이후 각국 환율은 금리차가 가장 큰 결정 요인이다. 이 때문에 FRB의 양적완화정책 재추진 이후 달러약세 현상이 뚜렷하다. 금리 주가 등 가격변수와 달리 환율은 통화 간 상대가격인 만큼 미국 이외의 다른 국가들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앉아서 자국 통화가 절상되는 것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때 각국의 반응 시기와 강도는 경제 여건과 수출의존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본이 먼저 반기(反旗)를 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가뜩이나 중국의 국채 매입으로 강세를 보이는 엔화가 미국의 약(弱)달러 정책으로 초강세를 보이자 간 나오토 정부가 '적극적인 시장개입'이라는 초강수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런 만큼 많은 부작용과 불씨를 안고 단행한 외환시장 개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느냐가 환율전쟁의 앞날과 관련해 중요하다. 첫 개입 이후 보름이 지났지만 의도했던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일본의 선택은 두 갈래다. 추가 개입할 것이냐,아니면 고개를 숙일 것이냐.쉽지 않겠지만 추가 개입을 선택한다면 환율전쟁은 의외로 오래갈 수 있다. 중국도 미국의 약달러 정책과 전격 통과된 환율제재법에 일단은 반발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중국은 미 하원의 표결 직전 6.69달러대까지 떨어졌던(절상됐던) 위안화 환율을 6.71달러대로 높여(절하해) 고시했다. 주로 중국을 겨냥한 환율제재법이 통과된 마당에 위안화 절하로 맞대응해 양국 간 무역분쟁으로 치달을 여지가 있다.
하지만 중국은 앞으로 적극적인 위안화 평가절하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안화 약세는 대외정책의 최우선 목표인 '팍스 시니카'(pax sinica) 구상에도 맞지 않고,부동산 등 경기 과열을 진정시키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대신 브라질 등 주변국과 공동 대응하는 쪽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4월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담에서는 금융위기로 달러가 약세가 될 경우에 대비해 공동통화 구상에 합의한 바 있다. 이 구상에 브릭스 4개국 중 중국과 브라질이 앞장섰다. 이번에 달러 약세에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올려 잡아 고시하자 곧바로 신흥국 가운데 브라질이 가장 먼저 시장 개입에 나선 것도 당시 합의내용에 근거한 조치로 풀이된다. 유럽의 고민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재정위기가 재연될 조짐인 가운데 한때 1.21달러대까지 떨어졌던 유로화 가치가 최근에는 1.37달러대까지 올라갔다. 유로화 강세가 유로존의 경기 회복 같은 내부 요인에 기인한 것이면 반가운 일이겠지만 주로 미국의 약달러 정책과 일본의 시장 개입 등에 따른 반사적 현상이라는 점이 유럽이 고민하는 이유다.
단일통화인 유로화는 시장 개입이라는 방어수단을 쉽게 선택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위기 극복을 위해 협조와 공존이 필요한 상황에서 다른 국가들이 '평가절하'라는 이기주의적 행동으로 간다면 유럽도 유로화 약세정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번 환율전쟁의 최대 변수이자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하나의 세계(one world)'라고 표현될 만큼 글로벌화가 진전된 시대에 인위적인 평가절하는 가장 경계해야 할 정책수단이다. 벌써부터 신(新)보호주의 물결이 거세질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환율절하 정책은 경쟁국에게 고스란히 피해를 전가하는 '근린궁핍화 정책'이자 가장 확실하게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는 '네거티브 게임'이기 때문이다. 최근 환율전쟁을 위기 후 신질서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과도기 현상으로 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너무 민감하게 대응하거나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정책적으로 환율의 하락 속도와 변동폭을 완화시키는 시장 개입과 '리스크데믹'(위험 전염) 현상만 경계하면 큰 충격 없이 지나갈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오히려 이번 환율전쟁은 국내 증시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많다. 미국은 양적완화로 약달러를 유도하고 있고 다른 국가들의 시장 개입도 '불태화 정책'(달러 매입분만큼 풀린 돈을 중화시키는 정책)을 취하지 않는 한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지기 때문이다. 일부 우려와 달리 환율전쟁 속에 외국 자금이 많이 들어오는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그런 만큼 환율전쟁의 전리품을 최대한 누리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의 자세가 중요한 때다.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
각국 간 통화 마찰 소지는 항상 존재하지만 이번 환율전쟁의 직접적인 도화선이 됐던 것은 지난 8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다. 이 회의를 계기로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국채 매입을 통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완화정책을 의외로 강하게 추진하면서 시장 금리도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위기 이후 각국 환율은 금리차가 가장 큰 결정 요인이다. 이 때문에 FRB의 양적완화정책 재추진 이후 달러약세 현상이 뚜렷하다. 금리 주가 등 가격변수와 달리 환율은 통화 간 상대가격인 만큼 미국 이외의 다른 국가들은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는 한 앉아서 자국 통화가 절상되는 것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이때 각국의 반응 시기와 강도는 경제 여건과 수출의존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본이 먼저 반기(反旗)를 든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가뜩이나 중국의 국채 매입으로 강세를 보이는 엔화가 미국의 약(弱)달러 정책으로 초강세를 보이자 간 나오토 정부가 '적극적인 시장개입'이라는 초강수를 선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런 만큼 많은 부작용과 불씨를 안고 단행한 외환시장 개입이 효과를 거둘 수 있느냐가 환율전쟁의 앞날과 관련해 중요하다. 첫 개입 이후 보름이 지났지만 의도했던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다. 일본의 선택은 두 갈래다. 추가 개입할 것이냐,아니면 고개를 숙일 것이냐.쉽지 않겠지만 추가 개입을 선택한다면 환율전쟁은 의외로 오래갈 수 있다. 중국도 미국의 약달러 정책과 전격 통과된 환율제재법에 일단은 반발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중국은 미 하원의 표결 직전 6.69달러대까지 떨어졌던(절상됐던) 위안화 환율을 6.71달러대로 높여(절하해) 고시했다. 주로 중국을 겨냥한 환율제재법이 통과된 마당에 위안화 절하로 맞대응해 양국 간 무역분쟁으로 치달을 여지가 있다.
하지만 중국은 앞으로 적극적인 위안화 평가절하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위안화 약세는 대외정책의 최우선 목표인 '팍스 시니카'(pax sinica) 구상에도 맞지 않고,부동산 등 경기 과열을 진정시키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 대신 브라질 등 주변국과 공동 대응하는 쪽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
지난해 4월 열린 브릭스(BRICs) 정상회담에서는 금융위기로 달러가 약세가 될 경우에 대비해 공동통화 구상에 합의한 바 있다. 이 구상에 브릭스 4개국 중 중국과 브라질이 앞장섰다. 이번에 달러 약세에 중국이 위안화 환율을 올려 잡아 고시하자 곧바로 신흥국 가운데 브라질이 가장 먼저 시장 개입에 나선 것도 당시 합의내용에 근거한 조치로 풀이된다. 유럽의 고민도 갈수록 커지고 있다. 재정위기가 재연될 조짐인 가운데 한때 1.21달러대까지 떨어졌던 유로화 가치가 최근에는 1.37달러대까지 올라갔다. 유로화 강세가 유로존의 경기 회복 같은 내부 요인에 기인한 것이면 반가운 일이겠지만 주로 미국의 약달러 정책과 일본의 시장 개입 등에 따른 반사적 현상이라는 점이 유럽이 고민하는 이유다.
단일통화인 유로화는 시장 개입이라는 방어수단을 쉽게 선택할 수는 없다. 하지만 위기 극복을 위해 협조와 공존이 필요한 상황에서 다른 국가들이 '평가절하'라는 이기주의적 행동으로 간다면 유럽도 유로화 약세정책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번 환율전쟁의 최대 변수이자 변곡점이 될 가능성이 높은 대목이다.
'하나의 세계(one world)'라고 표현될 만큼 글로벌화가 진전된 시대에 인위적인 평가절하는 가장 경계해야 할 정책수단이다. 벌써부터 신(新)보호주의 물결이 거세질 것이란 예상도 나오고 있다. 환율절하 정책은 경쟁국에게 고스란히 피해를 전가하는 '근린궁핍화 정책'이자 가장 확실하게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다주는 '네거티브 게임'이기 때문이다. 최근 환율전쟁을 위기 후 신질서가 형성되는 상황에서 나타나는 과도기 현상으로 보는 것도 이 때문이다. 너무 민감하게 대응하거나 비관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정책적으로 환율의 하락 속도와 변동폭을 완화시키는 시장 개입과 '리스크데믹'(위험 전염) 현상만 경계하면 큰 충격 없이 지나갈 수 있는 문제이기도 하다.
오히려 이번 환율전쟁은 국내 증시에 도움이 되는 측면이 많다. 미국은 양적완화로 약달러를 유도하고 있고 다른 국가들의 시장 개입도 '불태화 정책'(달러 매입분만큼 풀린 돈을 중화시키는 정책)을 취하지 않는 한 글로벌 유동성이 풍부해지기 때문이다. 일부 우려와 달리 환율전쟁 속에 외국 자금이 많이 들어오는 것도 이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그런 만큼 환율전쟁의 전리품을 최대한 누리기 위해서는 경제주체들의 자세가 중요한 때다.
객원논설위원 sch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