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원평가제 학부모평가 간소화된다
입력
수정
올해 처음 시행된 교원능력개발평가(교원평가)에서 참여율이 가장 저조한 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평가 방식이 내년부터 대폭 간소화할 전망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3일 지나치게 복잡하고 까다롭다는 지적을 받아온 학부모의 교사 평가항목을 기존 6~12개 문항에서 전반적인 만족도만 묻는 단일문항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현행 방식으로는 중학생 학부모의 경우 담임교사와 교장·교감, 13개 교과별 담당교사, 보건·영양 등 비교과 교사를 합쳐 17~18명을 평가해야 하고, 한 명당 평가항목이 보통 8~10개에 달해 만족도 조사를 마치려면 150~180개 문항에 일일이 답해야 한다.
특히 학부모가 일부 교사의 공개수업을 접해볼 기회가 없어 평가 근거가 빈약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올해 서울시교육청 관할 초중고의 학부모 평가 참여율은 48%에 그쳤고 참여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한 학교도 상당수였다.교과부는 지난 8월 권역별 설명회에서 학부모의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을 모은 데 이어 시도 교육청 현황을 취합해 연말까지 개선시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행 학부모 만족도 조사지에는 `교사가 학력신장을 위해 노력하는가' `학업수준에 맞춰 지도하는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창의성을 발휘하게 하는가' `학생 개인의 문제를 파악해 적절히 지도하는가' 등으로 구분돼 6~12개 문항을 구성한다.
개선안으로는 이런 복수 항목을 `○○○ 교사의 지도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는가'라는 한 문항으로 단순화해 전반적인 만족도를 `매우 그렇다'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5단계 척도로 답하게 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학부모가 비교적 잘 아는 담임교사는 항목별로 평가하고 잘 모르는 교사는 일반적 만족도만 평가하도록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
평가 정보가 아예 없는 교사에게는 `잘 모르겠다'는 응답조차 하지 말고 그냥 건너뛰어 다음 평가로 넘어가더라도 불이익이 없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
교육과학기술부는 3일 지나치게 복잡하고 까다롭다는 지적을 받아온 학부모의 교사 평가항목을 기존 6~12개 문항에서 전반적인 만족도만 묻는 단일문항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현행 방식으로는 중학생 학부모의 경우 담임교사와 교장·교감, 13개 교과별 담당교사, 보건·영양 등 비교과 교사를 합쳐 17~18명을 평가해야 하고, 한 명당 평가항목이 보통 8~10개에 달해 만족도 조사를 마치려면 150~180개 문항에 일일이 답해야 한다.
특히 학부모가 일부 교사의 공개수업을 접해볼 기회가 없어 평가 근거가 빈약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올해 서울시교육청 관할 초중고의 학부모 평가 참여율은 48%에 그쳤고 참여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한 학교도 상당수였다.교과부는 지난 8월 권역별 설명회에서 학부모의 평가방법에 대한 의견을 모은 데 이어 시도 교육청 현황을 취합해 연말까지 개선시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행 학부모 만족도 조사지에는 `교사가 학력신장을 위해 노력하는가' `학업수준에 맞춰 지도하는가'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창의성을 발휘하게 하는가' `학생 개인의 문제를 파악해 적절히 지도하는가' 등으로 구분돼 6~12개 문항을 구성한다.
개선안으로는 이런 복수 항목을 `○○○ 교사의 지도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는가'라는 한 문항으로 단순화해 전반적인 만족도를 `매우 그렇다'부터 '전혀 그렇지 않다'까지 5단계 척도로 답하게 하는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학부모가 비교적 잘 아는 담임교사는 항목별로 평가하고 잘 모르는 교사는 일반적 만족도만 평가하도록 선택하는 방법도 있다.
평가 정보가 아예 없는 교사에게는 `잘 모르겠다'는 응답조차 하지 말고 그냥 건너뛰어 다음 평가로 넘어가더라도 불이익이 없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팀 newsinf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