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20 서울 정상회의 D-16] "환율전쟁 먹구름 걷혔다"…외국인, 주식 5000억 쓸어 담아

코스피 'G20경주 효과'
코스피 지수 34개월 만에 최고
車·조선·기계 등 범중국株 수혜
상하이 2.57%↑…亞 동반 급등
주요 20개국(G20) 경주 재무장관 · 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성공적으로 막을 내리자 25일 국내 증시가 3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하며 화답했다. 증시 불안요인으로 남아 있던 환율 이슈가 해결 실마리를 찾아 투자심리가 크게 개선된 덕이다. 지난 9월부터 유동성 장세를 주도해온 외국인은 이틀간 1조원 이상 순매수했다. 외국인 입장에선 지속적인 원화 강세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 등이 한국 주식의 매력을 더욱 높이는 요인이란 평가다.


◆'경주 합의'에 외국인 반색외국인은 지난 22일 G20 재무장관 회담 첫날 5568억원에 이어 이날도 5015억원가량 '사자' 우위로 코스피지수를 연중 최고치로 밀어올렸다. 이종우 HMC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G20 경주회의가 최근 지속돼 온 유동성 장세에 더욱 힘을 실어줬다"며 "외국인이 한국 증시에서 공격적인 매수전략을 지속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정책변수가 한국 증시를 한 단계 레벨업하는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도 커졌다. 심재엽 메리츠종금증권 투자전략팀장은 "내달 G20 서울 정상회의에 거는 기대도 한층 높아졌다"며 "내년 글로벌 경제의 균형있는 발전 가능성이 한국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진단했다.

심 팀장은 "G20 정상회의를 통해 외환시장 안정,선진국과 신흥국의 균형잡힌 발전,신흥국의 기준금리 인상,글로벌 개발 공조 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등 주요 이머징 증시로 외국인의 자금유입이 더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돼 중국증시가 이날 2.57% 급등한 것을 비롯 대만 홍콩 싱가포르 증시도 1% 안팎 동반 상승했다. 한국 증시는 기업이익 성장세가 빠른 덕분에 밸류에이션(내재가치 대비 주가수준)이 낮아 외국인 선호도가 높다는 분석이다. 톰슨로이터에 따르면 12개월 후 예상이익을 기준으로 한 한국 증시의 주가수익비율(PER)은 지난 22일 현재 9.4배로 세계 평균(12.2배)에 크게 못 미친다. 아시아권에선 홍콩(17.5배) 인도(17.2배) 인도네시아(14.7배) 중국(13.0배) 일본(13.0배) 대만(12.4배) 등 한국보다 PER이 낮은 나라를 찾기가 어렵다.

◆유동성 장세‥'범중국주' 급부상

G20 경주 합의로 이머징 국가들의 통화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국내 증시도 외국인 매수에 따른 유동성 장세를 좀 더 만끽할 수 있을 것이란 분석이다. 중국의 점진적인 위안화 절상과 그에 따른 소비지출 확대 기대가 커지면서 '범(汎)중국주'들이 최대 수혜주로 떠올랐다. 이날 증시에서는 중국엔진집단(10.34%) 성융광전투자(9.50%) 중국원양자원(3.54%) 등 중국기업들이 초강세였다.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에 위안화 절상까지 더해질 경우 그간 주가를 억눌렀던 '차이나 디스카운트(저평가)'가 해소될 것이란 기대가 주가를 밀어올렸다. 현대차 기아차 등 자동차주와 조선 화학 산업재 등도 줄줄이 뜀박질했다. 원화 강세는 수출주엔 악재지만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증가에 따른 소비확대가 더 클 것이란 분석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범중국주가 펀더멘털(실적전망)과 수급 모두 긍정적이어서 당분간 주도주 역할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세중 신영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중국이 대외무역 부문을 좀 더 개방할 것이란 의미로 해석될 수 있어 중국 수출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고 말했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도 주로 이들 종목 일부에 집중되고 있다.

이 밖에 한국은행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은행 보험 등이 수혜주로 꼽혔고,달러 약세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도 지속될 전망 아래 비철금속 관련주들도 관심 대상으로 지목됐다. 그러나 유동성 장세에 대해 신중론도 있다. 황창중 우리투자증권 투자전략센터장은 "국제사회의 환율 마찰이 파국으로 치닫는 것은 막았지만 유동성에 기댄 주가 상승은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내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도 단기 변수다. 달러약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미국이 이전처럼 강한 양적완화 정책을 내놓지 않을 가능성도 있어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란 얘기다.

박해영/강지연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