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G20 준비위 해킹 시도…국정원, 국감서 밝혀
입력
수정
국가정보원은 28일 경색된 남북관계를 개선하기 위해 "큰 틀의 시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원세훈 국정원장이 출석한 가운데 열린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남북정상회담은 물건너간 것 아니냐"는 의원들의 질문에 "금강산 사업과 같이 실무적 · 개별적 수준의 해법으로는 남북관계 변화가 어렵다"며 이같이 답했다고 여야 간사인 황진하 한나라당,최재성 민주당 의원이 전했다. 이 같은 국정원 측의 입장은 남북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도 해석돼 주목된다. 또한 국정원은 이날 국감에서 북한이 1000명에 육박하는 사이버공격 조직을 구축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이 파악한 바로는 해커 부대 · 기관 등 사이버공격 조직은 북한 전역은 물론 중국에도 수 곳의 '해킹 기지'를 마련해 놓고 있다.
국정원은 정부기관에 대한 해킹과 관련,2004년 1월부터 현재까지 총 4만8000여건의 사이버 공격 사례가 있었고 이 중에는 내달 11~12일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에 대한 해킹과 국회의원 및 국회의원 보좌관 PC에 대한 해킹 사례까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국정원은 이날 원세훈 국정원장이 출석한 가운데 열린 국회 정보위 국정감사에서 "남북정상회담은 물건너간 것 아니냐"는 의원들의 질문에 "금강산 사업과 같이 실무적 · 개별적 수준의 해법으로는 남북관계 변화가 어렵다"며 이같이 답했다고 여야 간사인 황진하 한나라당,최재성 민주당 의원이 전했다. 이 같은 국정원 측의 입장은 남북정상회담의 필요성을 시사한 것으로도 해석돼 주목된다. 또한 국정원은 이날 국감에서 북한이 1000명에 육박하는 사이버공격 조직을 구축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이 파악한 바로는 해커 부대 · 기관 등 사이버공격 조직은 북한 전역은 물론 중국에도 수 곳의 '해킹 기지'를 마련해 놓고 있다.
국정원은 정부기관에 대한 해킹과 관련,2004년 1월부터 현재까지 총 4만8000여건의 사이버 공격 사례가 있었고 이 중에는 내달 11~12일 개최되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준비위원회에 대한 해킹과 국회의원 및 국회의원 보좌관 PC에 대한 해킹 사례까지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