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회사채 발행비중, 연중 최고…국고채 변동 확대
입력
수정
지난달 회사채 발행 비중이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투자협회는 4일 '10월 채권 장외시장동향'을 통해 10월 채권시장이 기준금리 동결 등의 이슈로 변동성이 큰 장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지난 15일 국고 3년 금리(3.05%)는 기준금리 동결로 역사상 저점을 확인했으나, 곧이어 나온 자본유출입 규제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가 부각되며 호재가 모두 희석되는 변동성이 큰 장세를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국고채 금리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회사채 시장에서는 매력적인 금리 메리트와 시장 유동성 등 우호적 여건이 지속되며 일반 회사채(ABS제외)의 발행이 증가했다.
10월 일반 회사채 발행 비중은 전체시장 대비 15%(34조원 중 5조1000억원), 발행잔액 비중 역시 12%(1219조원 중 147조원)를 점유하며 월간기준으로 2010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발행시장의 호황이 유통시장으로도 연결되며 국고채 대비 스프레드가 대폭 축소되는 등 지난달에 이어 강세장 나타냈다.
금투협 측은 국고채 금리 추세에 따라 회사채 발행시장의 향방이 결정되었던 과거 선례를 볼 때, 회사채 시장의 강세 지속 여부는 국고채 시장의 방향성에 달려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금리 변동성 증가에 따른 단기 운용 성과 확대 등을 위한 국채 단기 매매가 증가하여 국채 거래량은 전월대비 18% 증가한 314조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거래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거래량도 24조3000억원으로 전월대비 1000억원 증가했다.
신동준 금융투자협회 채권부 팀장은 "10월에는 굵직한 재료와 정책변수가 대두되면서 변동성이 큰 장세를 나타냈지만, 무위험채권의 낮은 절대금리를 호재로 모처럼 활기를 띄고 있는 회사채시장이 기복 없는 강세기조를 이어갔다"고 전했다.
또 "국고채 대비 스프레드가 금년 5월 수준으로 좁혀짐에 따라, 국고채 금리의 회사채시장 영향력은 점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
금융투자협회는 4일 '10월 채권 장외시장동향'을 통해 10월 채권시장이 기준금리 동결 등의 이슈로 변동성이 큰 장세를 나타냈다고 밝혔다.지난 15일 국고 3년 금리(3.05%)는 기준금리 동결로 역사상 저점을 확인했으나, 곧이어 나온 자본유출입 규제 가능성에 대한 리스크가 부각되며 호재가 모두 희석되는 변동성이 큰 장세를 구현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국고채 금리 변동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회사채 시장에서는 매력적인 금리 메리트와 시장 유동성 등 우호적 여건이 지속되며 일반 회사채(ABS제외)의 발행이 증가했다.
10월 일반 회사채 발행 비중은 전체시장 대비 15%(34조원 중 5조1000억원), 발행잔액 비중 역시 12%(1219조원 중 147조원)를 점유하며 월간기준으로 2010년 중 최고치를 기록했다.발행시장의 호황이 유통시장으로도 연결되며 국고채 대비 스프레드가 대폭 축소되는 등 지난달에 이어 강세장 나타냈다.
금투협 측은 국고채 금리 추세에 따라 회사채 발행시장의 향방이 결정되었던 과거 선례를 볼 때, 회사채 시장의 강세 지속 여부는 국고채 시장의 방향성에 달려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금리 변동성 증가에 따른 단기 운용 성과 확대 등을 위한 국채 단기 매매가 증가하여 국채 거래량은 전월대비 18% 증가한 314조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거래일수를 감안한 일평균 거래량도 24조3000억원으로 전월대비 1000억원 증가했다.
신동준 금융투자협회 채권부 팀장은 "10월에는 굵직한 재료와 정책변수가 대두되면서 변동성이 큰 장세를 나타냈지만, 무위험채권의 낮은 절대금리를 호재로 모처럼 활기를 띄고 있는 회사채시장이 기복 없는 강세기조를 이어갔다"고 전했다.
또 "국고채 대비 스프레드가 금년 5월 수준으로 좁혀짐에 따라, 국고채 금리의 회사채시장 영향력은 점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김다운 기자 kd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