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2차 양적완화 후폭풍] "美 양적완화야말로 환율 조작…경상수지 관리제는 계획경제"

中, G20 앞두고 美 강력 비판
보유 美국채 손실 책임론 우려
美에 환율전쟁 책임 떠넘기기
신흥국 공조로 영향력 확대
중국이 미국에 양적완화 조치에 대한 설명을 공개적으로 요구하고 나선 것은 표면적으론 미 최대 채권국으로서 달러 약세에 따른 보유채권 가치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속내는 닷새 앞둔 주요 20개국(G20) 서울 정상회의를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전략(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이라는 분석이다. 추이톈카이(崔天凱)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이 미국이 요구해온 경상수지 관리제를 계획경제 시대의 제도로 폄하하고 위안화 절상 압박을 환율조작 강요라고 비난하고 나선 것은 환율전쟁에서 수세적인 입장에만 머물지 않겠다는 의지로 비쳐진다. 추이 부부장은 "양적완화는 간접적인 환율 조작"이라고도 말했다.

◆양적완화 공격에 앞장선 중국지난달 G20 경주 재무장관회의에서 미국이 추가 양적완화 방침을 설명했을 때도 독일 등 일부 국가가 반발했을 뿐 중국은 뚜렷이 반대입장을 보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런 중국이 뒤늦게 미국에 공개적으로 양적완화 정책에 대해 설명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정치적인 의도가 담겨 있다는 지적이다.

우선 국내용이다. 달러약세에 따른 보유 미 국채 손실 책임론을 면하기 위해서라도 채권자로서 역할을 다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지난 8월 말 현재 8684억달러의 미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당장 미 국채를 내던지기는 쉽지 않다. 매각과정에서 보유 국채 가격의 급락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채 보유 다원화를 위해 지난 연말부터 일본과 한국 국채를 대거 매입하고 미국 국채를 줄여온 중국이 지난 7~8월 두 달 연속 다시 미 국채 보유량을 늘리는 등 속도 조절을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대외적으론 미국의 글로벌 위기 책임론을 부각시킴으로써 중국의 환율과 무역정책의 방어논리를 만들기 위해서라는 분석이다. 샤빈(夏斌)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이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조치가 세계 경제에 가장 큰 위험 요인"이라며 중국이 그간 유지해 온 통화정책과 자본통제 조치를 계속 이어가 핫머니에 대한 방화벽을 쳐야 한다고 조언한 게 대표적이다. 이치훈 국제금융센터 연구위원도 "중국 내에서도 수용되는 분위기가 형성되던 경상수지 관리제에 대해 전면 공격하고 나선 것은 유리한 협상전략을 만들고 자국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발 유동성 범람으로 비상이 걸린 신흥국의 이해를 대변할 '다거(大哥 · 형님)'를 자처하고 나섰다는 의미도 있다.◆거세지는 신흥국들의 반발

신흥국 일각에서 미국발 유동성 범람을 막기 위한 공조 가능성까지 제기되는 등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조치에 대한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콘 차티카와닛 태국 재무장관은 자국 중앙은행 총재가 이웃 중앙은행 총재들과 핫머니 유입 대응 논의를 했다며 이들 국가는 투기자금의 아시아 유입을 막기 위해 공동 조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인도 재무부의 한 관리는 "미국이 자국 경제를 부양할 권리를 갖고 있지만 다른 국가들도 각자 이익을 추구할 권리가 있다"며 G20회의에서 이뤄질 환율 합의는 양쪽 모두를 위한 결과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브라질의 기도 만테가 재무장관이 "모두가 미국의 회생을 바라지만 헬리콥터에서 돈을 뿌리는 것은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고 전했다.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도 미국의 추가 양적 완화에 대해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환율 문제를 강력히 제기하겠다"고 경고했다. 중국은 G20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적인 개최를 바란다고 했지만 "미국의 2차 양적완화 조치로 뚜렷한 성과가 나오기 힘들 것"(로이터통신)이라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오광진 기자 kjo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