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화시계' 텔로미어에 癌퇴치 비법 숨어 있다
입력
수정
텔로미어의 새기능인간의 수명이 150세까지 연장될 것이라는 전망이 학계와 바이오업계에서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최근 충남 부여에서 '2010 다산콘퍼런스' 노화과학 부문 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번 학술대회에서 국내외 석학들은 세포 내 '노화시계'인 텔로미어(염색체 말단소체)부터 세포 면역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논의를 주고받았다. 정인권 연세대 생물학과 교수는 "100년 전에 평균수명이 40세, 현재는 80세인 것을 감안했을 때 인간의 수명이 계속 선형(linear)으로 올라갈 것인지 여부에 대해서는 논란이 분분하다"며 "바이오산업의 발전 속도로 볼 때 유의미한 (수명)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인접해있는 특정 유전자에 '온-오프' 반복…활성화 조절
◆노화시계 '텔로미어'가 주변 유전자에도 영향 미쳐텔로미어는 6개의 뉴클레오티드(AATCCC,TTAGGG 등/A:아데닌 G:구아닌 C:시토신 T:티민)가 수천번 반복 배열된 염색체의 끝단을 말한다. 이는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계속 짧아져 어느 시점에 가면 더 이상 짧아지지 않는다. 이를 '노화점'이라고 부르며 이때 세포분열이 멈춘다. 노화점에 이른 노화세포가 많이 존재하는 조직이나 기관(간 뇌 위 장 등)은 모양도 변하고 제 기능을 못하게 되며 이것이 정상적인 노화 과정이다.
반면 암세포는 이 메커니즘과 달리 말단소체복원효소(텔로머라제)가 특이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텔로미어가 짧아지지 않고 무한 분열한다. 즉 세포 노화와 암세포 발생은 정반대 과정인 셈이다. 엘리자베스 블랙번 미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캠퍼스(UCSF) 교수 등 3명은 이를 밝힌 공로로 지난해 노벨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텔로머라제의 억제 방법이나 텔로미어의 연장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제리 샤이 미 텍사스웨스턴 메디컬센터 교수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텔로미어가 주변 세포의 활성화를 결정하는 '온-오프(on-off) 스위치' 역할을 한다는 점을 새롭게 공개했다. 즉 텔로미어 근처에 존재하는 특정 유전자는 텔로미어가 길 때 잠복기에 있다가 짧아질 때만 발현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샤이 교수의 가정에 입각해 최근 후천성면역결핍증(AIDS) 발병과 텔로미어의 길이 변형 간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화와 암의 경계선 '사이토카인'세포 면역 및 세포 간 신호 전달에 중요하게 관여하는 단백질이자 세포 분비물인 '사이토카인'도 노화와 암 발생에 밀접하게 관여한다.
주디 캄피시 미 버크노화연구소 교수는 세포가 늙어가면서 사이토카인류 분비물이 많아지고,이에 따라 노화가 가속화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암 발생을 촉진한다는 'SASP(senescene 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이론을 선보였다.
지난해 네이처에 관련 논문을 게재한 그는 이번 콘퍼런스에서 세포 노화에 따른 다양한 사이토카인의 분비와 이에 대한 역할을 더 심화해 발표했다. 어떤 세포가 돌연변이를 할 때 노화된 세포와 인접해 있으면 해당 세포가 노화된 세포의 사이토카인 영향을 받아 암세포로 바뀔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임인경 아주대 의대 교수는 "상처가 났을 때 빨갛게 되고 붓는 병리학적 염증반응이나,세포 돌연변이 이후 많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으로 인한 염증반응도 아닌 노화와 암의 경계선상에서 사이토카인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제3의 염증반응'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얀 비지 미 알버트아인슈타인의대 교수는 논문 발표를 준비 중인 '싱글 셀 게놈 시퀀싱(single cell genome sequencing)' 기술을 소개했다. 건강하던 사람이 나이가 들면서 질병에 걸리는 이유는 세포가 노화하면서 각종 염기서열의 돌연변이(mutation)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강했을 때와 병에 걸린 후 염기서열을 비교하면 어느 부분이 잘못돼 병이 생긴 것인지 이론적으로 알 수 있지만 현재 의학 수준으로는 아직 역부족이다. '게놈프로젝트'도 인체 염기서열 전반을 규명했을 뿐 특정 세포의 염기서열까지 파헤치지는 못했다.
비지 교수가 개발한 싱글셀 게놈시퀀싱은 노화세포 혹은 암세포 한 개에 대한 게놈 배열을 들여다볼 수 있는 기술이다. 간 위 대장 췌장 등에 암이 생기거나 당뇨 심혈관계 등에 문제가 생겼다면 세포 하나를 떼어내 어떤 돌연변이가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박상철 서울대의대 교수는 "싱글셀 게놈 시퀀싱은 앞으로 질병 원인 진단에 매우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텔로미어
염색체 끝단에 모자처럼 붙어 있는 조직으로 6개의 뉴클레오티드(AATCCC,TTAGGG 등/A:아데닌 G:구아닌 C:시토신 T:티민)가 수천번 반복 배열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세포가 분열되는 동안 세포가 완전히 사라지지 않게 막는 완충지역이라 볼 수 있다. 세포 분열 시 짧아지지만 '텔로머라제'라는 역전사효소에 의해 적절히 보충되며,노화 시기에 대한 결정적 정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