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곡물 운송량 줄어…벌크선 운임지수 한달새 10% 하락
입력
수정
철광석 물동량도 감소벌크선 운임지수(BDI · 발틱 드라이 인덱스)가 4분기 성수기에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곡물 가격이 크게 올라 곡물 운송량이 줄어든 데다 중국이 긴축정책에 나서면서 철광석 물동량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당분간 강세 전환 힘들 듯
해운업계에 따르면 지난 13일 BDI는 19포인트 떨어진 2076을 기록,한 달 전에 비해 10.2% 하락했다. 올 하반기 고점이던 지난 9월10일(2995)과 비교하면 약 3개월 사이에 30% 이상 급락했다. 운임 하락은 주요 선종에 걸쳐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철광석을 주로 운반하는 케이프사이즈급 운임지수(BCI)는 2663으로,최근 1개월간 하락률이 26.3%에 달했다. 파나마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파나막스급 운임지수(BPI)도 2323으로,올 하반기 고점인 9월9일(3396)에 비해 31.6% 떨어졌다.
10월부터 북미지역 곡물 수확이 이뤄져 4분기가 대표적인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벌크선 운임이 이같이 내려가고 있는 것은 무엇보다 중국의 긴축정책 때문인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STX팬오션 관계자는 "전 세계 철광석의 70%를 수입하는 중국이 부동산 긴축정책과 철강산업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중국으로 운송되던 철광석 물동량이 크게 감소한 것이 최근 벌크선 운임 하락의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다 옥수수를 비롯한 주요 곡물가격이 올해 중반부터 급등하면서 전 세계 주요 사료업체들이 옥수수 수입량을 줄이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도 운임 하락 요인으로 꼽힌다. 석탄 주요 수출국인 인도네시아와 호주 등에 많은 비가 내려 항구에 체선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 또한 벌크선 물동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이라고 해운업계는 보고 있다.중국이 높은 물가를 잡기 위해 긴축정책을 가속한다는 방침이어서 당분간 벌크선 운임이 강세로 돌아서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