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여록] 리베이트 주려고 위스키 값 올렸나
입력
수정
"위스키 한 병에 리베이트가 최대 2만원에 달합니다. 가격을 올리더니 돈이 남나봐요. "
한 주류도매상의 얘기다. 연말 최대 성수기를 맞아 위스키 업계의 판매경쟁이 도를 넘었다. 일부 대형 수입주류회사는 통상 한 병을 팔 때마다 5000원씩 유흥업소 등에 주던 판매장려금 형태의 리베이트를 위스키 신제품과 프리미엄급에 대해 병당 1만~2만원까지 올렸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17년산 이상 국산 브랜드 위스키의 출하가격이 3만~5만원대,해외 브랜드는 5만~7만7000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술값의 20%가량이 리베이트로 쓰이는 셈이다. 12월 한 달 동안 약 500만병의 위스키가 팔린다고 보면 병당 5000원씩만 잡아도 250억원이 풀린다는 계산이다. 업계에선 서울 강남의 모 대형 룸살롱이 올해 연간 10억원에 가까운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소문이 나돈다. 뿐만 아니다. 유흥업소와 주류도매상에 대한 도우미 제공과 각종 판촉물 지원,해외여행 주선 등도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위스키 업체들은 지난 7~9월 술값을 일제히 3.5~10% 올렸다. 지난 3년간 해마다 가격을 인상한 곳도 있다. 제조원가가 올라 부담이 크다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리베이트로 돈을 펑펑 쓰는 것을 보면 원가 압박이 심하다는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렇게 리베이트로 풀 돈이면 값을 내려도 되겠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일부 업체는 2002~2003년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 수법으로 수십억원대의 비자금을 만든 뒤 리베이트 등으로 썼다가 전직 대표이사 등 임원들이 형사처벌을 받았다. 2004년에는 리베이트 제공이 문제되자 위스키 업계 전체가 △리베이트성 현금 제공 △제품 끼워팔기 △해외관광 및 골프 접대 등을 하지 않겠다고 자정결의를 했다. '위스키 공정경쟁질서 확립위원회'란 기구를 만들어 감시활동도 펼쳤다. 2007년에는 주류 도매상들이 같은 형태의 자정결의에 나서기도 했다. 이런 자정운동이 결실을 맺었다면 벌써 위스키 영업현장은 비리와 부패의 무풍지대가 됐어야 하지만,현실은 딴판이다. 흥청망청 돈을 뿌리다 겉치레로 자정운동을 벌이기보다는 술값을 정상화하는 게 옳다.
김현석 생활경제부 기자 realist@hankyung.com
한 주류도매상의 얘기다. 연말 최대 성수기를 맞아 위스키 업계의 판매경쟁이 도를 넘었다. 일부 대형 수입주류회사는 통상 한 병을 팔 때마다 5000원씩 유흥업소 등에 주던 판매장려금 형태의 리베이트를 위스키 신제품과 프리미엄급에 대해 병당 1만~2만원까지 올렸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17년산 이상 국산 브랜드 위스키의 출하가격이 3만~5만원대,해외 브랜드는 5만~7만7000원대인 점을 감안하면 술값의 20%가량이 리베이트로 쓰이는 셈이다. 12월 한 달 동안 약 500만병의 위스키가 팔린다고 보면 병당 5000원씩만 잡아도 250억원이 풀린다는 계산이다. 업계에선 서울 강남의 모 대형 룸살롱이 올해 연간 10억원에 가까운 리베이트를 받았다는 소문이 나돈다. 뿐만 아니다. 유흥업소와 주류도매상에 대한 도우미 제공과 각종 판촉물 지원,해외여행 주선 등도 다반사로 일어나고 있다.
위스키 업체들은 지난 7~9월 술값을 일제히 3.5~10% 올렸다. 지난 3년간 해마다 가격을 인상한 곳도 있다. 제조원가가 올라 부담이 크다는 게 이유였다. 그러나 리베이트로 돈을 펑펑 쓰는 것을 보면 원가 압박이 심하다는 주장은 신빙성이 떨어진다. 그렇게 리베이트로 풀 돈이면 값을 내려도 되겠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일부 업체는 2002~2003년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는 수법으로 수십억원대의 비자금을 만든 뒤 리베이트 등으로 썼다가 전직 대표이사 등 임원들이 형사처벌을 받았다. 2004년에는 리베이트 제공이 문제되자 위스키 업계 전체가 △리베이트성 현금 제공 △제품 끼워팔기 △해외관광 및 골프 접대 등을 하지 않겠다고 자정결의를 했다. '위스키 공정경쟁질서 확립위원회'란 기구를 만들어 감시활동도 펼쳤다. 2007년에는 주류 도매상들이 같은 형태의 자정결의에 나서기도 했다. 이런 자정운동이 결실을 맺었다면 벌써 위스키 영업현장은 비리와 부패의 무풍지대가 됐어야 하지만,현실은 딴판이다. 흥청망청 돈을 뿌리다 겉치레로 자정운동을 벌이기보다는 술값을 정상화하는 게 옳다.
김현석 생활경제부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