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주]'관리대상·투자경고' 셀런, 8일째 주가 뛰어
입력
수정
지난달 공정공시 의무를 위반한데 이어 단기 주가급등으로 한국거래소로부터 잇따라 관리대상과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된 거래소 상장업체 셀런의 주가가 8거래일 연속 뛰고 있다.
시장에선 이런 셀런의 급등세에 대해 인수·합병(M&A) 기대감이 투자위험 요소를 모두 상쇄시키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셀런은 15일 오전 9시27분 현재 전날대비 0.21% 오른 823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한때 840원까지 뛰기도 했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달 30일부터 단 1거래일을 제외하고는 날마다 올랐고, 이 기간 주가상승률은 무려 130%를 웃돈다. 1주당 300원대에서 거래됐던 게 800원 위에서 매매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셀런은 지난달 25일 공시의무 위반 등으로 '관리종목'이란 불명예 꼬리표를 달았다. 이미 체결한 공급계약이 해지됐는데 계약금 중 50% 이상 줄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는 현재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으로 벌점을 받은 것이 과거 1년 이내 15점을 넘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한다.또 지난 14일에는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투자경고를 받으면 매매시 위탁증거금 100%를 납부해야 하고, 신용융자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후 주가가 더 뛰면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돼 거래소로부터 보다 강도 높은 별도의 관리를 받게 된다.
셀런이 최근 주가가 급등한 이유는 M&A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셀런은 지난 7일 공시를 통해 "M&A 주간사인 삼정KPMG가 M&A 관련 공고를 냈다"며 "12월 23일까지 인수의향서를 접수해 제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 등을 통해 공개경쟁으로 인수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
시장에선 이런 셀런의 급등세에 대해 인수·합병(M&A) 기대감이 투자위험 요소를 모두 상쇄시키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셀런은 15일 오전 9시27분 현재 전날대비 0.21% 오른 823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중 한때 840원까지 뛰기도 했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달 30일부터 단 1거래일을 제외하고는 날마다 올랐고, 이 기간 주가상승률은 무려 130%를 웃돈다. 1주당 300원대에서 거래됐던 게 800원 위에서 매매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셀런은 지난달 25일 공시의무 위반 등으로 '관리종목'이란 불명예 꼬리표를 달았다. 이미 체결한 공급계약이 해지됐는데 계약금 중 50% 이상 줄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는 현재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등으로 벌점을 받은 것이 과거 1년 이내 15점을 넘으면 관리종목으로 지정한다.또 지난 14일에는 '투자경고' 종목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투자경고를 받으면 매매시 위탁증거금 100%를 납부해야 하고, 신용융자도 이용할 수 없게 된다. 이후 주가가 더 뛰면 '투자위험' 종목으로 지정돼 거래소로부터 보다 강도 높은 별도의 관리를 받게 된다.
셀런이 최근 주가가 급등한 이유는 M&A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셀런은 지난 7일 공시를 통해 "M&A 주간사인 삼정KPMG가 M&A 관련 공고를 냈다"며 "12월 23일까지 인수의향서를 접수해 제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 등을 통해 공개경쟁으로 인수대상을 선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경닷컴 정현영 기자 j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