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카페] 베토벤 '합창' 송년음악회 단골인 까닭
입력
수정
"모든 인간은 형제가 되노라.그대의 부드러운 날개가 머무르는 곳에 백만인이여,서로 포옹하라.전 세계의 입맞춤을 받으라."
연말 클래식 공연장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의 가사 일부다. 지난 9일 수원시립교향악단,10일 울산시립교향악단,16~17일 KBS교향악단이 송년무대에서 들려줬고 22일에는 정명훈씨가 지휘하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다. 서울시향은 2006년부터 '마스터피스 시리즈'의 마지막 무대로 '합창'을 연주했고,가장 빨리 매진되는 기록도 세웠다.
'합창'은 왜 송년음악회의 단골 레퍼토리가 됐을까.
1846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린 연말 자선음악회에서 바그너가 지휘한 이후 생겨난 전통이다. 무엇보다 가사가 담고 있는 메시지 때문에 한 해를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사랑받고 있다. 소리를 들을 수 없었던 말년의 베토벤은 세계 평화,인류애,불굴의 의지 등을 표현한 실러의 가사로 희망을 전했다.
이 작품은 정치적 성향이나 지역 등을 초월해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1981년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 취임식 때 연주됐고 1989년 중국 톈안먼 시위에 참가한 학생들도 이 노래를 불렀다.
《베토벤의 생애와 음악》을 쓴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로맹 롤랑은 '합창'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베토벤 교향곡 9번은 합류점이다. 아주 먼 곳과 전혀 다른 곳에서 흘러든 숱한 분류,모든 시대 인간의 사상이 여기에 담겨 있다. 또한 다른 교향곡들과는 달리 산꼭대기에서 모든 것을 내려다보는 최고의 경지다. 8번과 9번 사이에 오랜 시간이 가로놓였기 때문에 시야는 더 넓어졌다. '생애의 전서'라 할 수 있다. "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연말 클래식 공연장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의 가사 일부다. 지난 9일 수원시립교향악단,10일 울산시립교향악단,16~17일 KBS교향악단이 송년무대에서 들려줬고 22일에는 정명훈씨가 지휘하는 서울시립교향악단이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다. 서울시향은 2006년부터 '마스터피스 시리즈'의 마지막 무대로 '합창'을 연주했고,가장 빨리 매진되는 기록도 세웠다.
'합창'은 왜 송년음악회의 단골 레퍼토리가 됐을까.
1846년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린 연말 자선음악회에서 바그너가 지휘한 이후 생겨난 전통이다. 무엇보다 가사가 담고 있는 메시지 때문에 한 해를 마무리하는 작품으로 사랑받고 있다. 소리를 들을 수 없었던 말년의 베토벤은 세계 평화,인류애,불굴의 의지 등을 표현한 실러의 가사로 희망을 전했다.
이 작품은 정치적 성향이나 지역 등을 초월해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1981년 미테랑 전 프랑스 대통령 취임식 때 연주됐고 1989년 중국 톈안먼 시위에 참가한 학생들도 이 노래를 불렀다.
《베토벤의 생애와 음악》을 쓴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로맹 롤랑은 '합창'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베토벤 교향곡 9번은 합류점이다. 아주 먼 곳과 전혀 다른 곳에서 흘러든 숱한 분류,모든 시대 인간의 사상이 여기에 담겨 있다. 또한 다른 교향곡들과는 달리 산꼭대기에서 모든 것을 내려다보는 최고의 경지다. 8번과 9번 사이에 오랜 시간이 가로놓였기 때문에 시야는 더 넓어졌다. '생애의 전서'라 할 수 있다. "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