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 확정
입력
수정
[한경속보]정부가 총 50조원을 투입해 동해안과 서해안권의 산업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인다.
국토해양부는 동해안과 서해안권을 새로운 산업·물류·관광 거점으로 만드는 ‘동해안권 및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8일 발표했다.앞서 지난 5월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이 확정·고시됐기 때문에 이번 발표로 동·서·남해안권 전역에 대한 중장기 발전 청사진이 모두 확정됐다.
동·서·남해안권은 ‘5+2 광역경제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동남권 대구·경북권+강원권 제주권)과 함께 현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의 주요 축이다.광역경제권간 협력이 필요한 초광역개발권역들이다.
계획에 따르면 동해안은 에너지·관광산업벨트로 개발한다.국가에너지 생산량의 60% 담당하게 한다.울산~경주~울진으로 연결되는 원자력클러스터,울산의 동북아 오일허브,삼척의 복합에너지거점 등이 주력축이다.해양과학클러스터(울진),해양자원 연구·생산단지(포항 울산) 등을 통해 ‘해양연구 탐사 거점’으로도 조성한다.강릉~동해~삼척~울산을 잇는 신소재 바이오클러스터도 만든다.설악권 경주권 강릉권 울릉권으로 묶어 국제관광벨트도 만든다.서해안은 지식·첨단산업벨트로 가꾼다.크게 인천·경기권은 국제비즈니스와 물류·첨단산업이 복합된 경제거점으로 개발한다.비즈니스·여행·컨벤션·쇼핑·관광산업을 주로 활성화한다.충남서해안권은 국제관광과 휴양산업 등을 조화있게 배치하고 새만금권은 신재생에너지벨트,식품산업벨트로 개발키로 했다.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산업벨트(파주~화성~평택~아산),자동차산업벨트(화성~아산~홍성~군산) 등 산업군도 육성한다.
국토부는 2020년까지 민자를 포함,동해안권은 약 24조8000억원,서해안권은 약 25조2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될 전망이라고 밝혔다.이에 따라 동해안권은 48조원의 생산유발효과,26만명의 취업유발효과를 볼 것으로 내다봤다.서해안권은 생산유발 52조원,취업유발 26만명으로 기대했다.국토부 관계자는 “향후 사업별 개발계획 수립과정에서 국가재정운용계획 등을 감안해 사업별·주체별 재원분담방안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해 지역발전 및 파급효과가 큰 사업부터 먼저 시행하고 해외 및 민간자본 유치,투자·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공동마케팅도 펼칠 계획이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
국토해양부는 동해안과 서해안권을 새로운 산업·물류·관광 거점으로 만드는 ‘동해안권 및 서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을 최종 확정했다고 28일 발표했다.앞서 지난 5월 남해안권 발전종합계획이 확정·고시됐기 때문에 이번 발표로 동·서·남해안권 전역에 대한 중장기 발전 청사진이 모두 확정됐다.
동·서·남해안권은 ‘5+2 광역경제권’(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동남권 대구·경북권+강원권 제주권)과 함께 현 정부의 지역발전정책의 주요 축이다.광역경제권간 협력이 필요한 초광역개발권역들이다.
계획에 따르면 동해안은 에너지·관광산업벨트로 개발한다.국가에너지 생산량의 60% 담당하게 한다.울산~경주~울진으로 연결되는 원자력클러스터,울산의 동북아 오일허브,삼척의 복합에너지거점 등이 주력축이다.해양과학클러스터(울진),해양자원 연구·생산단지(포항 울산) 등을 통해 ‘해양연구 탐사 거점’으로도 조성한다.강릉~동해~삼척~울산을 잇는 신소재 바이오클러스터도 만든다.설악권 경주권 강릉권 울릉권으로 묶어 국제관광벨트도 만든다.서해안은 지식·첨단산업벨트로 가꾼다.크게 인천·경기권은 국제비즈니스와 물류·첨단산업이 복합된 경제거점으로 개발한다.비즈니스·여행·컨벤션·쇼핑·관광산업을 주로 활성화한다.충남서해안권은 국제관광과 휴양산업 등을 조화있게 배치하고 새만금권은 신재생에너지벨트,식품산업벨트로 개발키로 했다.디스플레이 및 반도체산업벨트(파주~화성~평택~아산),자동차산업벨트(화성~아산~홍성~군산) 등 산업군도 육성한다.
국토부는 2020년까지 민자를 포함,동해안권은 약 24조8000억원,서해안권은 약 25조2000억원의 사업비가 투자될 전망이라고 밝혔다.이에 따라 동해안권은 48조원의 생산유발효과,26만명의 취업유발효과를 볼 것으로 내다봤다.서해안권은 생산유발 52조원,취업유발 26만명으로 기대했다.국토부 관계자는 “향후 사업별 개발계획 수립과정에서 국가재정운용계획 등을 감안해 사업별·주체별 재원분담방안을 확정하겠다”고 말했다.
효율적 사업추진을 위해 지역발전 및 파급효과가 큰 사업부터 먼저 시행하고 해외 및 민간자본 유치,투자·관광객 유치 등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공동마케팅도 펼칠 계획이다.
장규호 기자 daniel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