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척추 전문' 정동병원, 환자 개개인을 고려한 "맞춤인공관절수술"로 만족도 높여
입력
수정
서울 상도동에 사는 이모씨(여, 62세)는 5년 여 전부터 심한 무릎 통증을 앓아왔다. 처음엔 그저 앉았다 일어설 때, 몸을 움직일 때 약간의 통증이 있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통증은 밤잠을 설칠 정도로 심해졌다. 이씨는 혹여 가족들에게 피해를 줄까 싶어 약으로만 버텨왔지만 작년 추석 연휴, 가족들이 모인 자리에서 이 씨가 다리를 질질 끌다시피 하며 걷는 것을 본 자식들이 보다 못해 4개월 전 관절, 척추 전문 병원인 정동병원을 찾았다.
정동병원은 2004년 1월 2일, 동작구 상도동에 개원한 관절 척추 전문 정형외과 병원으로 MRI, 나선형 CT, EMR(전자진료차트) OCS(자동처방전달체계), PACS(영상저장 및 전송시스템) 등의 최첨단시설을 갖춘 약 100병상 규모의 디지털 전문병원이다. 검사 결과 이 씨는 말기 퇴행성 관절염 진단을 받았다. 이 씨의 양쪽 무릎 관절은 연골이 많이 닳아 거의 뼈와 뼈가 붙어있는 심각한 상태였고, 이로 인해 다리는 이미 O자형의 변형이 진행된 상태였다. 따라서 이 씨는 인공관절치환 수술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체구가 작고 아담한 여성인 이 씨의 경우, 일반 인공관절 치환으로는 만족스러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양 여성형 맞춤 인공관절을 선택해 수술을 시작했다. 수술은 부분 마취를 통한 최소침습술로 절개를 최소화 했고, 다리에 컴퓨터 센서를 부착한 뒤 적외선 카메라로 위치 좌표를 추적해 가면서 관절의 위치와 각도를 바로잡는 네비게이션 수술을 시행했다. 약 2시간에 걸친 수술을 끝낸 이 씨는 수술 3시간 후부터 보조기구를 이용해 몸을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했다. 2주 후부터는 본격적인 재활 운동을 시작했고, 3개월 후에는 O자로 구부려져 있던 다리가 곧게 펴지고,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로 걸을 수 있게 되었다.
1960년대 영국의 존 찬리 경에 의해 인공고관절이 처음 개발된 이후 인공관절 수술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수술 기법이나 장비들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수술이 가능해졌고, 강화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같은 반영구적 생체재료 등 인공관절의 재질과 좌식 생활 환경에 맞춘 초굴곡형 인공관절, 여성의 체형에 맞춘 여성 맞춤형 인공관절 등이 개발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가장 적합한 맞춤 인공관절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관절, 척추전문 정동병원 김창우 대표원장은 “기존 인공관절은 굴곡이 90도에 머물렀지만 최근 초굴곡형 인공관절이 등장하면서 140~150도의 굴곡까지 가능해져 관절의 운동범위가 크고 넓어졌고, 연골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인 세라믹형 인공관절은 최대 20여 년 정도에 머물렀던 인공관절의 수명을 10년 이상 늘어나게 했다”고 설명한다. 또한 “남성에 비해 가로 폭이 짧고, 서양인에 비해 관절의 크기가 작은 여성에 맞는 여성 맞춤형 인공관절도 등장해 환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인공관절은 100% 자기 관절이 아닌 만큼 수술 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술 후 관리를 소홀히 하면 수술 부위에 세균이 감염될 위험이 있고, 특히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자칫 인공관절 주변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관절 수술은 퇴행성 관절염의 최후의 치료법인만큼 무조건적인 수술을 하기 보다는 수술 전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인공관절과 수술법을 선택해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정동병원은 2004년 1월 2일, 동작구 상도동에 개원한 관절 척추 전문 정형외과 병원으로 MRI, 나선형 CT, EMR(전자진료차트) OCS(자동처방전달체계), PACS(영상저장 및 전송시스템) 등의 최첨단시설을 갖춘 약 100병상 규모의 디지털 전문병원이다. 검사 결과 이 씨는 말기 퇴행성 관절염 진단을 받았다. 이 씨의 양쪽 무릎 관절은 연골이 많이 닳아 거의 뼈와 뼈가 붙어있는 심각한 상태였고, 이로 인해 다리는 이미 O자형의 변형이 진행된 상태였다. 따라서 이 씨는 인공관절치환 수술이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체구가 작고 아담한 여성인 이 씨의 경우, 일반 인공관절 치환으로는 만족스러운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양 여성형 맞춤 인공관절을 선택해 수술을 시작했다. 수술은 부분 마취를 통한 최소침습술로 절개를 최소화 했고, 다리에 컴퓨터 센서를 부착한 뒤 적외선 카메라로 위치 좌표를 추적해 가면서 관절의 위치와 각도를 바로잡는 네비게이션 수술을 시행했다. 약 2시간에 걸친 수술을 끝낸 이 씨는 수술 3시간 후부터 보조기구를 이용해 몸을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했다. 2주 후부터는 본격적인 재활 운동을 시작했고, 3개월 후에는 O자로 구부려져 있던 다리가 곧게 펴지고, 자연스러운 걸음걸이로 걸을 수 있게 되었다.
1960년대 영국의 존 찬리 경에 의해 인공고관절이 처음 개발된 이후 인공관절 수술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수술 기법이나 장비들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네비게이션을 이용해 보다 정확한 수술이 가능해졌고, 강화 플라스틱이나 세라믹 같은 반영구적 생체재료 등 인공관절의 재질과 좌식 생활 환경에 맞춘 초굴곡형 인공관절, 여성의 체형에 맞춘 여성 맞춤형 인공관절 등이 개발되면서 환자 개개인에 가장 적합한 맞춤 인공관절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관절, 척추전문 정동병원 김창우 대표원장은 “기존 인공관절은 굴곡이 90도에 머물렀지만 최근 초굴곡형 인공관절이 등장하면서 140~150도의 굴곡까지 가능해져 관절의 운동범위가 크고 넓어졌고, 연골과의 마찰을 최대한 줄인 세라믹형 인공관절은 최대 20여 년 정도에 머물렀던 인공관절의 수명을 10년 이상 늘어나게 했다”고 설명한다. 또한 “남성에 비해 가로 폭이 짧고, 서양인에 비해 관절의 크기가 작은 여성에 맞는 여성 맞춤형 인공관절도 등장해 환자의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인공관절은 100% 자기 관절이 아닌 만큼 수술 후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술 후 관리를 소홀히 하면 수술 부위에 세균이 감염될 위험이 있고, 특히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 자칫 인공관절 주변에 골절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관절 수술은 퇴행성 관절염의 최후의 치료법인만큼 무조건적인 수술을 하기 보다는 수술 전 전문의와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인공관절과 수술법을 선택해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