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동의 '월요전망대'] '도시락 폭탄'의 기억…외환당국도 물가잡기 나설까
입력
수정
최근 정부가 물가 불안에 대응하는 방식을 보면 2008년 중반과 닮아 있다는 느낌이 든다. 당시 촛불사태가 어느정도 진정되자 이명박 대통령은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물가안정을 내세웠다. 이 대통령은 6월3일 국무회의에서 "유가급등 등 대외 경제여건이 나빠지면서 서민생활이 악화됐다"며 "서민 경제에 주안점을 두라"고 지시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그해 6월11일 이동통신사 병원 정유회사 등에 대한 전방위 조사에 착수했다. 7월9일엔 '도시락폭탄'이 터졌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 이른바 외환당국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대규모로 달러를 매도했다. 원 · 달러 환율을 끌어내려 물가상승폭을 줄여보자는 목적이었다. 물가 중에서 특히 휘발유 가격 급등이 최대 이슈였다. 이로부터 한 달정도 뒤인 8월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5.0%에서 연5.25%로 올렸다.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하기 5주 전이었다.
이 대통령은 2011년 들어 다시 물가안정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3일 신년연설에서 "5%대의 고성장과 3%대의 물가안정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번에도 공정위가 먼저 나섰다. 한은 금통위도 보조를 맞춘 듯 13일 기준금리를 연 2.5%에서 연 2.75%로 높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같은 시간대에 진행된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어떤 것보다 유가가 다른 물가에 미치는 파급력이 크다"고 말했다. 다음엔 외환당국이 나설 차례인가.
이번 주 시장의 관심은 환율에 쏠릴 것으로 보인다. 저환율(원화강세)은 해외발 인플레이션 유입을 억제하는 효율적 수단임에 틀림없다. 예를 들어 국제유가가 5% 오를 때 원 · 달러 환율이 5% 내리면 국내 유가는 변동이 없다. 지난달 수입물가가 계약통화(주로 달러)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1년전에 비해 14.5% 상승했지만 원 · 달러 환율이 소폭 내린 덕에 원화 기준으론 12.7%로 상승률이 조금 낮아졌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하지만 '제2의 도시락폭탄'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08년엔 환율이 상승 추세에 있었지만 지금은 하락 추세에 있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가만 놔둬도 내릴 텐데 당국이 굳이 무리수를 써 가며 떨어뜨릴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때문에 점진적 하락 전망이 대세다. 올 들어 수급 측면에서도 외국인의 원화 매수세가 강하지만 정유회사 등 수입업체들의 달러 수요도 만만치 않아 가파른 하락세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번 주 경제지표 중에선 지식경제부가 18일 내놓는 '12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을 눈여겨 봐야 할 것 같다. 최근 물가 급등의 원인을 놓고 수요 쪽의 비중에 대해 논란이 벌이지고 있는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이 논란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 백화점은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달 연속 매출이 두 자릿수로 늘었는데 이번에도 높은 증가율을 이어가고,여기에 대형 할인점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면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을 무시하기 힘들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이와 관련,"물가상승 요인 중 공급과 수요 측면의 비중은 반반 정도"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앞서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월 경제동향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KDI는 지난해 12월엔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는데 12월 산업활동동향에서 경기 하락세가 멈추는 모습을 보여 코멘트에 약간의 변화를 줄 것으로 보인다.
경제부 차장 jdpower@hankyung.com
공정거래위원회가 그해 6월11일 이동통신사 병원 정유회사 등에 대한 전방위 조사에 착수했다. 7월9일엔 '도시락폭탄'이 터졌다.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 이른바 외환당국이 점심시간을 이용해 대규모로 달러를 매도했다. 원 · 달러 환율을 끌어내려 물가상승폭을 줄여보자는 목적이었다. 물가 중에서 특히 휘발유 가격 급등이 최대 이슈였다. 이로부터 한 달정도 뒤인 8월7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연 5.0%에서 연5.25%로 올렸다. 리먼 브러더스가 파산하기 5주 전이었다.
이 대통령은 2011년 들어 다시 물가안정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3일 신년연설에서 "5%대의 고성장과 3%대의 물가안정을 이루겠다"고 말했다. 이번에도 공정위가 먼저 나섰다. 한은 금통위도 보조를 맞춘 듯 13일 기준금리를 연 2.5%에서 연 2.75%로 높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같은 시간대에 진행된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어떤 것보다 유가가 다른 물가에 미치는 파급력이 크다"고 말했다. 다음엔 외환당국이 나설 차례인가.
이번 주 시장의 관심은 환율에 쏠릴 것으로 보인다. 저환율(원화강세)은 해외발 인플레이션 유입을 억제하는 효율적 수단임에 틀림없다. 예를 들어 국제유가가 5% 오를 때 원 · 달러 환율이 5% 내리면 국내 유가는 변동이 없다. 지난달 수입물가가 계약통화(주로 달러)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1년전에 비해 14.5% 상승했지만 원 · 달러 환율이 소폭 내린 덕에 원화 기준으론 12.7%로 상승률이 조금 낮아졌다.
외환시장 참가자들은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모든 수단을 강구하겠다고 하지만 '제2의 도시락폭탄'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2008년엔 환율이 상승 추세에 있었지만 지금은 하락 추세에 있는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가만 놔둬도 내릴 텐데 당국이 굳이 무리수를 써 가며 떨어뜨릴 이유가 없다는 얘기다. 때문에 점진적 하락 전망이 대세다. 올 들어 수급 측면에서도 외국인의 원화 매수세가 강하지만 정유회사 등 수입업체들의 달러 수요도 만만치 않아 가파른 하락세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번 주 경제지표 중에선 지식경제부가 18일 내놓는 '12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을 눈여겨 봐야 할 것 같다. 최근 물가 급등의 원인을 놓고 수요 쪽의 비중에 대해 논란이 벌이지고 있는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이 논란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 백화점은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달 연속 매출이 두 자릿수로 늘었는데 이번에도 높은 증가율을 이어가고,여기에 대형 할인점도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면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을 무시하기 힘들다. 김중수 한은 총재는 이와 관련,"물가상승 요인 중 공급과 수요 측면의 비중은 반반 정도"라고 말한 바 있다. 이에 앞서 17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월 경제동향에 대해 어떤 평가를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KDI는 지난해 12월엔 경기가 둔화되고 있다는 진단을 내놨는데 12월 산업활동동향에서 경기 하락세가 멈추는 모습을 보여 코멘트에 약간의 변화를 줄 것으로 보인다.
경제부 차장 jdpow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