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정쩡한 남북경협사업] 통일부 대북정책 '실종'
입력
수정
6자회담ㆍ남북당국자 대화통일부의 대북정책이 실종됐다. 통일 · 외교 · 안보라인의 혼선과 전략 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19일 열리는 미 · 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급물살을 타고 있는 북핵문제의 전환 국면이 정작 우리 정부에는 기회가 아닌 위기의 순간으로 다가오고 있다는 지적이다.
無대응ㆍ無전략 … 오직 북핵
이명박 정부가 출범 4년차에 들어섰지만 '손에 잡히는' 대북정책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북핵문제의 진전에 보조를 맞추겠다는 큰 틀의 대북정책 방향만 설정해놓고 있다. 올 들어서도 북한 지도부가 아닌 북한 주민을 상대로 한 정책 전환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게 전부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 개성공단 · 금강산 관광 등에 대한 정부의 입장은 무대응 · 무전략 · 무언급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야말로 슬로건일 뿐"이라며 "미 · 중 정상회담에서 공동성명이 나온 뒤에야 또다시 대북정책을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에 빠질 만큼 '뒷북치기'에 급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정부에 과연 대북정책이라는 것이 있느냐"며 "북한을 향한 '변화' 요구만 있을 뿐 변화로 이끌 구체적인 각론은 접근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대북정책을 심도 깊게 논의하고 결정해야 할 통일 · 외교 · 안보라인은 제 구실을 못하고 있다. 워싱턴 정가에선 6자회담 또는 남북 당국 간 대화 재개 촉구 등의 공동선언이 준비되고 있다는 말이 무성하지만 정부 관계자는 "현재로선 어떤 대북정책도 의미가 없다. 미 · 중 회담의 결과를 지켜보자"고 했다. 대북정책의 기조를 놓고 통일부와 외교통상부는 엇박자를 내고 있다.
통일부는 대중국 외교에 좀 더 공을 기울이지 않는 외교부에 불만이고,반대로 외교부는 지난 10년간 대북정책의 실패가 가져온 혼선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통일부가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리 식의 '직구'만 고집하고 있어 유연성이 현저히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고 교수는 "6자회담을 통해 북핵문제가 어느 정도 풀려나가고 북 · 미 관계가 진전된다 하더라도 남북 관계는 현재와 같은 냉각 국면이 지속될 것"이라며 "비전에 그치고 있는 대북정책을 좀 더 구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준혁 기자 rainbo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