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사업 지역갈등] 부산vs밀양 '동남권 신공항'…광주·무안 '공항 통합' 現정권 넘길 수도

동남권 신공항 경쟁 치열
용역 발표 세차례 연기
무안공항은 적자 눈덩이
부산 김해공항을 대체할 동남권 신국제공항 입지 선정과 광주 · 무안공항 통합문제도 뜨거운 감자다.

동남권 신국제공항은 경남 밀양을 지지하는 대구 경남 경북과 부산 가덕도를 미는 부산 간 경쟁이 치열하다. 하지만 입지 선정은커녕 의견 수렴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입지여건을 둘러싼 용역 결과 발표는 이미 세 차례나 연기됐다. 동남권 신공항은 원래 부산시와 부산상의를 중심으로 1992년부터 추진하다가 정부의 반대로 좌절됐다. 그러나 2006년 5월 다시 정부에 공항 설립을 요청해 받아들여지면서 추진됐다. 정부는 동남권 공항이 타당성이 있다고 보고 2008년 3월 '동남권 신공항 개발의 타당성 및 입지조사 연구용역'을 진행하면서 동남권 신공항을 건립키로 방침을 정했다.

그러나 부산의 가덕도 외에 경남 밀양 등이 후보지로 떠오르면서 지역 간 갈등이 심해졌다. 정부는 당초 2009년 9월 용역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같은해 12월로 연기했다가 또다시 늦췄다. 이어 지역 간 갈등이 해소될 기미를 보이지 않자 지난해 12월로 발표를 연기한 데 이어 오는 3월로 또다시 미뤘다.

정부가 뒷짐지는 사이 이들 지자체 간 감정의 골은 깊어질 대로 깊어졌다. 신정택 부산상의 회장은 "부산항의 항만시설과 철도의 기반에다 동남권에 신공항을 건설하면 동남권과 남해안을 아우르는 광역경제권의 상생과 국가균형발전의 틀을 새롭게 놓는 역사적 계기가 될 수 있다"며 가덕도론을 내세웠다. 반면 대구 경남 · 북 쪽은 "낙후된 내륙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곳은 밀양밖에 없다"며 부산무용론을 주장했다. 광주공항을 무안공항으로 통합하는 문제도 정부 결정 지연으로 전남도와 광주시가 각을 세우고 있다. 2007년 개항한 무안공항은 연간 14만회 이착륙이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1.3%에 불과할 정도로 실적이 저조하다. 지난해 경영손실만 68억원에 달하는 등 해마다 적자가 불어나고 있다.

전남도는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해 "당초 정부 계획대로 광주공항의 무안공항 이전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광주시가 "그렇게 되면 두 공항이 모두 공멸한다"며 반대한다.

무안국제공항에는 광주공항의 기능 이전을 전제로 11년간 3000억원의 공사비가 투입됐다. 그러나 광주공항 이전문제로 광주와 전남도가 대립하자 국토부가 '시 · 도끼리 협의'를 내세웠지만 갈등만 키웠다는 지적이다. 국토부의 지지부진한 전략은 지난 4일 발표한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에서도 나타났다. 호남고속철도 개통시기(2014년)에 맞춰 광주공항을 무안공항으로 통합을 추진한다는 원칙만 발표했을 뿐 통합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광주=최성국/부산=김태현 기자 skcho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