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태의 '월요전망대'] 상승 압력 곳곳에…MB '3%대 물가' 가능할까
입력
수정
'3%대 물가안정 목표'는 40년 전인 1972년에도 있었다. 정부는 당시 기업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사채동결 조치를 취하면서 3% 물가안정을 목표로 내세웠다. 10%가 넘는 두 자릿수 물가 상승률에서 3%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어찌 보면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물가 관계기관 간부들이 참석하는 물가대책회의가 경제기획원 회의실에서 하루도 거르지 않고 열렸다. 수송에 애로가 있다고 하면 교통부에서 특별 수송대책을 강구하고,매점매석이 나타나면 경찰이 나서 단속을 벌이는 등 다양한 대책이 논의됐다. 당시 정부가 맨 먼저 취한 것은 공산품 가격을 일괄적으로 5%씩 인하토록 종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찍어누르기식 물가안정은 이내 부작용을 수반했다. 과자 가격을 묶어두자 과자 함량 줄이기,소주 값을 그대로 두면서 알코올 도수를 25도에서 20도로 낮추기 등 편법이 성행했다. 어쨌든 사채동결조치 1주년이 되는 날 청와대 경제동향보고회에서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지난 1년간의 물가 상승률이 얼마냐"고 묻자 태완선 경제부총리는 자신 있게 "3%입니다"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당시 물가정책국장을 맡았던 강경식 전 부총리는 회고록에서 "이 한마디 답변을 하기 위해 물가 담당 공무원들은 7개월간 노심초사하며 보냈다"며 "물가 3%는 정부가 만들어 낸 지수에 불과했을 뿐 물가가 3% 수준으로 실질적으로 안정됐다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말했다.
새해 벽두부터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명박 정부가 올해 내건 물가목표치 3%를 달성하기 위해 원가 조사 등 전방위적 물가통제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물가는 쉽사리 잡히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1970년대식 물가대책이 부활한 것 아니냐는 평가도 있다. 설을 앞둔 다음 달 1일 통계청에서 '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작년 말 물가를 불안하게 했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최근 작황 부진과 한파,구제역이 겹치면서 다시 급등하고 있는 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산품 가격 인상,석유값 상승,전셋값 불안 등으로 물가 압력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 후반이나 4%대 초반(전년 동기 대비)으로 치솟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앞서 31일에는 '2010년 12월 산업활동동향'이 나온다. 실물경기를 보여주는 산업생산은 12월에 기업들의 연말 밀어내기 효과로 다른 달에 비해 좋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산업생산은 작년 7월 정점을 찍은 이후 8월부터 전반적으로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12월에도 뚜렷한 반전이 일어났을 여지는 적어 보인다.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선행지수와 동행지수도 관심사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전년 동월비는 11개월째 떨어지고 있다. 현재의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4개월 연속 하락,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같은 날 한국은행이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내놓는다. 지난해 12월 제조업의 업황 BSI는 92로 5개월째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지식경제부는 다음 달 1일 '1월 수출입동향'을 발표한다.
경제부 차장 jtchung@hankyung.com
이를 달성하기 위해 물가 관계기관 간부들이 참석하는 물가대책회의가 경제기획원 회의실에서 하루도 거르지 않고 열렸다. 수송에 애로가 있다고 하면 교통부에서 특별 수송대책을 강구하고,매점매석이 나타나면 경찰이 나서 단속을 벌이는 등 다양한 대책이 논의됐다. 당시 정부가 맨 먼저 취한 것은 공산품 가격을 일괄적으로 5%씩 인하토록 종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찍어누르기식 물가안정은 이내 부작용을 수반했다. 과자 가격을 묶어두자 과자 함량 줄이기,소주 값을 그대로 두면서 알코올 도수를 25도에서 20도로 낮추기 등 편법이 성행했다. 어쨌든 사채동결조치 1주년이 되는 날 청와대 경제동향보고회에서 박정희 당시 대통령은 "지난 1년간의 물가 상승률이 얼마냐"고 묻자 태완선 경제부총리는 자신 있게 "3%입니다"라고 답변했다고 한다.
당시 물가정책국장을 맡았던 강경식 전 부총리는 회고록에서 "이 한마디 답변을 하기 위해 물가 담당 공무원들은 7개월간 노심초사하며 보냈다"며 "물가 3%는 정부가 만들어 낸 지수에 불과했을 뿐 물가가 3% 수준으로 실질적으로 안정됐다고 생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고 말했다.
새해 벽두부터 물가와의 전쟁을 선포한 이명박 정부가 올해 내건 물가목표치 3%를 달성하기 위해 원가 조사 등 전방위적 물가통제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물가는 쉽사리 잡히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1970년대식 물가대책이 부활한 것 아니냐는 평가도 있다. 설을 앞둔 다음 달 1일 통계청에서 '1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다. 작년 말 물가를 불안하게 했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최근 작황 부진과 한파,구제역이 겹치면서 다시 급등하고 있는 데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공산품 가격 인상,석유값 상승,전셋값 불안 등으로 물가 압력은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 후반이나 4%대 초반(전년 동기 대비)으로 치솟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앞서 31일에는 '2010년 12월 산업활동동향'이 나온다. 실물경기를 보여주는 산업생산은 12월에 기업들의 연말 밀어내기 효과로 다른 달에 비해 좋게 나오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산업생산은 작년 7월 정점을 찍은 이후 8월부터 전반적으로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어 12월에도 뚜렷한 반전이 일어났을 여지는 적어 보인다.
경기흐름을 보여주는 선행지수와 동행지수도 관심사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전년 동월비는 11개월째 떨어지고 있다. 현재의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역시 4개월 연속 하락,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같은 날 한국은행이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내놓는다. 지난해 12월 제조업의 업황 BSI는 92로 5개월째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지식경제부는 다음 달 1일 '1월 수출입동향'을 발표한다.
경제부 차장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