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커버그 꿈꾸는 1인 창조기업…'1% 성공'에 내몰린다

정부, 18만개 육성책 내놨지만
창작 앱 690여개 중 6건만 수익

2~3년 후 융자 만기 돌아와
실업자·신용불량자 양산 우려

정부가 청년 실업 대책의 하나로 전방위로 1인창조기업 육성책을 내놓고 있지만 성공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창업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리고 1인창조기업 18만개를 육성할 뜻을 밝히는 등 양적 확대에 집중하면서 또 다른 청년 실업자들을 양산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 중소기업청 등에 따르면 지난해 앱 창작터에서 예비 창업자들은 690여개 앱을 개발했지만 이 중 수익을 올린 앱은 6건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상위 한두 개를 제외하면 개발 후 5~6개월 동안 총 수익이 100만원 안팎에 그쳤다. 정부는 1인창조기업의 핵심 분야로 모바일 콘텐츠 산업을 내세우고 있지만 상위 1%를 제외한 대다수의 창업자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꿈은 제2의 저커버그지만…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창업 대책은 앱창작터 확대,시니어창업 1000개 육성,참살이 실습터 육성 등 7개에 이른다. 2~3일에 한 번꼴이다. 정부가 창업 육성에 얼마나 열을 올리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히 소규모 아이디어,기술 창업으로 청년기업가를 키워내는 '1인창조기업 육성'은 정부가 가장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정책이다.

올초에는 이명박 대통령이 "1인창조기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제도를 시행해 한국의 마크 저커버그(페이스북 창업자)가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올해 1인창조기업 예산은 지난해의 두 배 수준인 200억원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1~4명이 창업해 성공할 가능성은 1~2% 선에 그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창업 지원에 나서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분야의 경우 비슷한 사업모델을 가진 기업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면서 수익성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소셜커머스 창업신화로 유명한 '티켓몬스터'의 이관우 이사는 "유망하다는 분위기 때문에 300여개의 기업이 생겨났지만 최근엔 서비스 질과 수익성이 함께 나빠지는 게 현실"이라며 "규모의 경제 등을 감안할 때 수익을 낼 수 있는 회사는 3곳 정도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1인창조기업 중 창업이 가장 활발했던 디자인 게임 등의 분야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정부가 밝힌 1인창조기업의 평균 연간 매출은 4400만원.그나마 수억~수십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극소수를 제외하면 연간 매출이 1000만원에도 못 미칠 것으로 추산된다. 한 예비 창업자는 "대부분이 게임 디자이너,번역가 등의 프리랜서들로 월 100만~200만원의 수입도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며 "저커버그를 육성한다지만 현실은 막막하다"고 토로했다.

◆"2~3년 후 청년 백수 양산" 우려전문가들은 "정부의 청년창업 드라이브가 당장 실업을 완화시키는 효과는 있겠지만 경영 부실이 이어지고 융자금 등을 상환해야 하는 2~3년 후에는 대규모 실업자와 신용불량자로 돌변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무엇보다 양적 확대나 기술,아이디어 지원에 집중된 정부의 창업 육성 정책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김진수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수익성에 대한 검증을 강화해야 하며 컨설팅 지원도 창업 육성보다는 창업 이후 경영 지속성에 무게를 둬야 한다"고 말했다.

고경봉 기자 kgb@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