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높은 물가 오름세 지속"…금리동결 이유 '가계부채·환율'
입력
수정
- 물가상승압력 지속될 가능성 커
- 금리동결 배경은 '가계부담' 부담과 '저환율' 효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0%에서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금통위는 지난해 11월부터 격월로 기준금리의 인상과 동결을 반복하는 '징검다리' 결정 방식을 이어갔다.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및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 등으로 지난달 4.7% 수준에 이르렀다"며 "앞으로 경기 상승으로 인한 수요압력 증대, 국제원자재가격 불안,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증대 등으로 높은 물가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앞으로의 통화정책에 대해 금통위는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물가 안정기조가 확고히 유지되도록 하는데 보다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금통위의 의결문은 "물가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부분 등 일부 표현에서 지난달보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졌음을 드러냈다.기준금리는 지난 2009년 1월 3.0%에서 2.5%로 내려간 뒤 2월에는 사상최저치인 2.0%를 기록했다. 이후 지난해 7월부터 네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인상됐다.
◇ 금리 동결 이유…900조원 육박하는 '가계 부채'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에는 심각한 가계부채 문제가 있다.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를 지나면서 800조원을 넘어선 상태다.가계부채가 부담이 이미 위험수준에 이른 상태에서 두 달 연속 금리를 올리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게 시장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동철 우리선물 채권·금리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금리 정상화) 정책기조는 유지하되,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을 고려해 전체적인 속도조절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금통위의 '징검다리'식 금리인상에 대해서도 최 연구원은 "국내 물가상승압력이 큰 상황이지만, (정책 당국에서는) 3~4월을 고점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한 듯하다"고 분석했다.가계부담이 커지면 소비가 위축되고, 경기회복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악의 경우에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한 취약계층의 '파산 도미노'가 일어날 우려도 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는 금리동결에도 소폭 상승했다. CD금리는 연 3.40%로 전날보다 0.01%포인트 올랐다.
또 다른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는 원화 절상에 따른 간접적인 물가상승억제 효과가 꼽힌다.
최근 1100원대 아래로 내려간 원·달러 환율은 공급 측면의 압력을 다소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환율은 지난달 28일 1144.4원을 기록한 이후 전일 1084.3원까지 떨어지며 18거래일 동안 미 달러화 대비 60원가량 절상됐다.
미 달러화 대비 환율하락(원화가치 상승)으로 수입 물가가 낮아지면서 금리인상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시간이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 소비자물가상승률 석 달째 4%…IMF도 물가 전망치 1.1%p 올려
그러나 이번 금리동결 결정이 한은의 물가안정 운영목표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거시경제 전문가는 "기준금리 동결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이 당장 더 커지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는 상태에서는 부채를 앉고 있는 가계의 부담은 더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4.7%까지 급등하며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앞서 1월, 2월에도 각각 4.1%, 4.5% 상승, 석 달째 4%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이는 한은의 중장기 물가안정 목표치(3.0±1.0%)를 크게 벗어난 수준이다.
일종의 경기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전년동월대비 7.3%나 오르며 2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생산자물가는 1~2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이날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발표에 하루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종전 3.4%에서 1.1%포인트 올린 4.5%로 조정했다.한편, 한은은 13일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등을 전망하는 '2011 경제전망'(수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
- 금리동결 배경은 '가계부담' 부담과 '저환율' 효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2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3.0%에서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금통위는 지난해 11월부터 격월로 기준금리의 인상과 동결을 반복하는 '징검다리' 결정 방식을 이어갔다.금통위는 '통화정책 방향'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석유류 및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 등으로 지난달 4.7% 수준에 이르렀다"며 "앞으로 경기 상승으로 인한 수요압력 증대, 국제원자재가격 불안,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증대 등으로 높은 물가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앞으로의 통화정책에 대해 금통위는 "우리 경제가 견조한 성장을 지속하는 가운데 물가 안정기조가 확고히 유지되도록 하는데 보다 중점을 두고 통화정책을 운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금통위의 의결문은 "물가오름세가 지속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부분 등 일부 표현에서 지난달보다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커졌음을 드러냈다.기준금리는 지난 2009년 1월 3.0%에서 2.5%로 내려간 뒤 2월에는 사상최저치인 2.0%를 기록했다. 이후 지난해 7월부터 네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인상됐다.
◇ 금리 동결 이유…900조원 육박하는 '가계 부채'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의 배경에는 심각한 가계부채 문제가 있다.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를 지나면서 800조원을 넘어선 상태다.가계부채가 부담이 이미 위험수준에 이른 상태에서 두 달 연속 금리를 올리기에는 부담이 크다는 게 시장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최동철 우리선물 채권·금리 연구원은 "기본적으로 (금리 정상화) 정책기조는 유지하되, 가계와 기업의 이자 부담을 고려해 전체적인 속도조절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금통위의 '징검다리'식 금리인상에 대해서도 최 연구원은 "국내 물가상승압력이 큰 상황이지만, (정책 당국에서는) 3~4월을 고점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줄어들 것으로 판단한 듯하다"고 분석했다.가계부담이 커지면 소비가 위축되고, 경기회복 둔화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생길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악의 경우에는 부채를 감당하지 못한 취약계층의 '파산 도미노'가 일어날 우려도 있다.
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양도성예금증서(CD) 91일물 금리는 금리동결에도 소폭 상승했다. CD금리는 연 3.40%로 전날보다 0.01%포인트 올랐다.
또 다른 금리 동결의 배경으로는 원화 절상에 따른 간접적인 물가상승억제 효과가 꼽힌다.
최근 1100원대 아래로 내려간 원·달러 환율은 공급 측면의 압력을 다소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환율은 지난달 28일 1144.4원을 기록한 이후 전일 1084.3원까지 떨어지며 18거래일 동안 미 달러화 대비 60원가량 절상됐다.
미 달러화 대비 환율하락(원화가치 상승)으로 수입 물가가 낮아지면서 금리인상 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시간이 생긴 것으로 풀이된다.
◇ 소비자물가상승률 석 달째 4%…IMF도 물가 전망치 1.1%p 올려
그러나 이번 금리동결 결정이 한은의 물가안정 운영목표를 놓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거시경제 전문가는 "기준금리 동결로 가계부채에 대한 부담이 당장 더 커지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는 상태에서는 부채를 앉고 있는 가계의 부담은 더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4.7%까지 급등하며 2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앞서 1월, 2월에도 각각 4.1%, 4.5% 상승, 석 달째 4%대 상승률을 유지했다. 이는 한은의 중장기 물가안정 목표치(3.0±1.0%)를 크게 벗어난 수준이다.
일종의 경기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 역시 전년동월대비 7.3%나 오르며 28개월 만에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생산자물가는 1~2개월 정도의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된다.
이날 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발표에 하루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은 우리나라의 소비자 물가상승률을 종전 3.4%에서 1.1%포인트 올린 4.5%로 조정했다.한편, 한은은 13일 올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 등을 전망하는 '2011 경제전망'(수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한경닷컴 이민하 기자 mina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