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물류 인력 부족 심각하다"
입력
수정
물류현장에서 일한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조사가 나왔다. 물류직이 과중한 업무와 3D업종이라는 편견 때문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물류기업 400여개사를 대상으로 '2011년 물류인력 수급실태'를 조사한 결과, 물류기업 56.8%의 현장인력이 부족했다고 18일 밝혔다.현장뿐 아니라 물류영업(18.9%), 국제물류(9.3%), 물류기획(9.3%), 물류정보·IT(5.7%) 분야도 인력부족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부족 이유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잦은 인력 이동'이 38.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최근 물류수요 증가'(20%), '물류업에 대한 편견'(19.2%), '인력양성 기관 부족'(11.7%)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경우 '물류수요 증가'(53.8%)를 인력부족의 가장 큰 이유로 답한 반면 중소기업은 '잦은 인력 이동'(4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물류기업은 이같은 인력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인력 전환 배치'(25%)를 가장 많이 시행했다.
'사내 자체 교육'(17%), '근무시간 연장'(16.2%), '외주 하청 및 위탁 확대'(13.5%) 등도 빈번하게 실시했다.외국인 근로자(5.2%) 및 중고령자 여성인력(3.8%)을 활용하거나 다른 업체에서 스카우트(4.9%) 한다는 답변도 있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물류인력 양성 수준이 현장에서의 인력수요에 못 미치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이는 물류기업 내 인력운용 체계, 적정 근무시간 확보, 기업 간 인력 경쟁의 문제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는 물류기업 400여개사를 대상으로 '2011년 물류인력 수급실태'를 조사한 결과, 물류기업 56.8%의 현장인력이 부족했다고 18일 밝혔다.현장뿐 아니라 물류영업(18.9%), 국제물류(9.3%), 물류기획(9.3%), 물류정보·IT(5.7%) 분야도 인력부족 문제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부족 이유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잦은 인력 이동'이 38.3%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최근 물류수요 증가'(20%), '물류업에 대한 편견'(19.2%), '인력양성 기관 부족'(11.7%)등의 이유가 뒤를 이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경우 '물류수요 증가'(53.8%)를 인력부족의 가장 큰 이유로 답한 반면 중소기업은 '잦은 인력 이동'(40.2%)을 가장 많이 꼽았다.
물류기업은 이같은 인력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기존 인력 전환 배치'(25%)를 가장 많이 시행했다.
'사내 자체 교육'(17%), '근무시간 연장'(16.2%), '외주 하청 및 위탁 확대'(13.5%) 등도 빈번하게 실시했다.외국인 근로자(5.2%) 및 중고령자 여성인력(3.8%)을 활용하거나 다른 업체에서 스카우트(4.9%) 한다는 답변도 있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물류인력 양성 수준이 현장에서의 인력수요에 못 미치는 현상이 나타났다"며 "이는 물류기업 내 인력운용 체계, 적정 근무시간 확보, 기업 간 인력 경쟁의 문제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한경닷컴 강지연 기자 alice@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