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카페] 보건소에서 금연·다이어트 클리닉까지

서울 당산동 영등포 보건소는 오래된 건물 외관에 비해 실내는 깔끔한 시설로 꾸며져 있었다. 안내 데스크에 "복통 때문에 왔다"고 하자 2층 외래진료실로 안내한다. 간단한 접수 절차를 마치고 3분 정도 대기한 뒤 진료를 받을 수 있었다. 진료비는 1100원.

보건소에선 감기 · 배탈 같은 가벼운 병부터 고혈압이나 신경통 · 관절염 등 만성병의 진료,산부인과까지 민간 병원보다 훨씬 싸게 진료받을 수 있다. 보건소 진료의 본인 부담액은 500~1600원(일반 진료) 정도로 동네 의원의 절반 이하다. 보건소 운영에 건강보험료 외에도 지자체와 보건복지부의 예산이 일부 지원되기 때문이다. 또 서울 시내 보건소들은 1차 진료기관 개념을 넘어 다양한 건강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주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보건소에선 BCG(결핵) · B형간염 · 폴리오(소아마비) 등 영 · 유아를 위한 필수 예방 접종 8종이 모두 무료다. 일반 병원에서 이런 예방접종을 하려면 몇십만원의 비용이 든다. 신생아부터 60개월 이하 영유아들의 진찰,신체검사,발달평가 등 건강검진도 무료다. 일부 보건소는 금연클리닉도 운영한다. 금단증상 및 대처요령과 금연보조제 사용방법을 가르쳐주고 금연보조제도 무료로 제공한다. 또 강남구 보건소는 다이어트를 위해 식습관 개선,운동처방 등을 해주는 맞춤형 건강검진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한방치료와 물리치료실도 인기다. 이처럼 각 자치구 보건소가 무료 건강 프로그램에 시설까지 개선하자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뜸 치료 등 무료 프로그램을 마련한 중구보건소는 2009년 하루 평균 이용객이 382명이었지만 올해는 하루 평균 850여명으로 두 배 이상 급증했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