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랑크톤 게놈 서열 한국인이 해독…성균관대 윤환수 교수팀
입력
수정
국내 연구진이 해양 미세 플랑크톤의 게놈 서열을 해독했다.
성균관대 윤환수 생명과학과 교수(사진)팀은 미세 플랑크톤의 하나인 '피코빌리파이트'의 세포 3개를 사용해 전체 게놈 서열을 해독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게놈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의 합성어로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을 말한다. 플랑크톤의 세포를 하나 하나 분리하고 각 세포의 유전체를 증폭한 뒤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기법'을 이용해 전체 게놈을 밝혀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윤 교수는 "분석된 3개의 유전체로부터 이 종류의 플랑크톤이 갖고 있는 특이한 유전 정보는 물론 플랑크톤이 소화 중인 먹이 박테리아의 유전체 일부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를 근거로 생태계 먹이사슬을 분석하거나 신약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유전자 발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사이언스'지 5월호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성균관대 윤환수 생명과학과 교수(사진)팀은 미세 플랑크톤의 하나인 '피코빌리파이트'의 세포 3개를 사용해 전체 게놈 서열을 해독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게놈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의 합성어로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의 집합을 말한다. 플랑크톤의 세포를 하나 하나 분리하고 각 세포의 유전체를 증폭한 뒤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 기법'을 이용해 전체 게놈을 밝혀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윤 교수는 "분석된 3개의 유전체로부터 이 종류의 플랑크톤이 갖고 있는 특이한 유전 정보는 물론 플랑크톤이 소화 중인 먹이 박테리아의 유전체 일부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를 근거로 생태계 먹이사슬을 분석하거나 신약 개발에 필요한 유용한 유전자 발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논문은 '사이언스'지 5월호에 실렸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