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대전 대덕지구 확정…"타지역 반발"
입력
수정
초대형 국책사업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과학벨트)가 대전 대덕지구를 중심으로 조성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과학벨트위원회 최종 회의를 열고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거점지구로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 규모는 5조2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당초 2009년 정부가 마련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안의 3조5000억원보다 1조7000억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3조5000억원은 거점지구인 대전에, 나머지는 광주·경북권 등 다른 지역에 배분될 예정이다.
대덕단지는 평가 지표 가운데 특히 '연구기반 구축·집적도(연구개발 투자 정도, 연구인력 확보 정도, 연구 시설·장비 확보 정도,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우수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따라 거점지구 대덕단지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된다.
거점지구를 산업·금융·교육·연구 등의 측면에서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대덕단지와 인접한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됐다.
과학벨트 기능지구의 경우 거점지구 후보지로 거론되지 않았거나, 후보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탈락한 시·군이라도 제한 없이 선정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가운데 절반가량은 원칙대로 거점지구(대덕단지)에, 나머지는 최종 5개 후보지에 들었다가 탈락한 광주·경북권(대구·포항·울산)에 집중 배치된다.
본원 외 연구단(사이트랩)의 상당수가 이 지역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한편 과학벨트위원회 회의에 앞서 불거진 '대전 입지 사전 확정설'로 절차상 정당성 논란과 함께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과학벨트 호남권유치위원회는 지난 15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강운태 광주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명을 내고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짜맞추기식의 정략적 심사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선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하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G)ㆍ울산(U)ㆍ대구(D) 3개 시도 범시도민 과학벨트 유치추진위도 같은 날 경북도청 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과학벨트 최종입지 선정 발표를 앞두고 선정기준의 불공정성뿐 아니라 분산배치설이 제기되는 등 정치권 개입이 드러나고 있다며 규정과 절차에 따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선정돼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교육과학기술부는 16일 과학벨트위원회 최종 회의를 열고 과학벨트의 핵심시설인 기초과학연구원과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설 거점지구로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학벨트 조성에 필요한 전체 예산 규모는 5조2000억원으로 책정됐다. 이는 당초 2009년 정부가 마련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안의 3조5000억원보다 1조7000억원 이상 늘어난 것이다.
이 가운데 3조5000억원은 거점지구인 대전에, 나머지는 광주·경북권 등 다른 지역에 배분될 예정이다.
대덕단지는 평가 지표 가운데 특히 '연구기반 구축·집적도(연구개발 투자 정도, 연구인력 확보 정도, 연구 시설·장비 확보 정도, 연구성과의 양적·질적 우수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따라 거점지구 대덕단지에는 과학벨트의 핵심요소인 기초과학연구원 본원과 대형실험시설인 중이온가속기가 들어서게 된다.
거점지구를 산업·금융·교육·연구 등의 측면에서 뒷받침할 기능지구로는 대덕단지와 인접한 청원(오송·오창)·연기(세종시)·천안 등이 지정됐다.
과학벨트 기능지구의 경우 거점지구 후보지로 거론되지 않았거나, 후보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탈락한 시·군이라도 제한 없이 선정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기초과학연구원 소속 50개 연구단 가운데 절반가량은 원칙대로 거점지구(대덕단지)에, 나머지는 최종 5개 후보지에 들었다가 탈락한 광주·경북권(대구·포항·울산)에 집중 배치된다.
본원 외 연구단(사이트랩)의 상당수가 이 지역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포스텍(포항공대), 울산과기대(UNIST) 등이 들어설 전망이다.
한편 과학벨트위원회 회의에 앞서 불거진 '대전 입지 사전 확정설'로 절차상 정당성 논란과 함께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반발도 거세지고 있다.과학벨트 호남권유치위원회는 지난 15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강운태 광주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성명을 내고 특정지역을 염두에 둔 짜맞추기식의 정략적 심사에 결코 동의할 수 없다며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선정을 공정하고 투명하게 하라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G)ㆍ울산(U)ㆍ대구(D) 3개 시도 범시도민 과학벨트 유치추진위도 같은 날 경북도청 광장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과학벨트 최종입지 선정 발표를 앞두고 선정기준의 불공정성뿐 아니라 분산배치설이 제기되는 등 정치권 개입이 드러나고 있다며 규정과 절차에 따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선정돼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경닷컴 김동훈 기자 dhk@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