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진위 "한국영화 중국서 활로 찾아야"
입력
수정
'미래 포럼'서 제시중국이 한국 영화의 소비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 주요 동영상 사이트들은 한국 최신영화들을 실시간 업데이트하며 높은 조회 수를 기록 중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한국 영화를 사랑하는 팬 모임도 확산되고 있다.
영화산업진흥위원회가 31일 가진 '영화산업 미래포럼'에서 이상무 CJ E&M 부장은 "수년간 정체 상태에 있는 한국 영화시장의 활로를 중국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영화시장을 키우자'를 주제로 중국 영화산업의 현황과 한국 영화의 진출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중국 영화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폐쇄적인 시장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중국은 자국 콘텐츠 육성을 위해 외국 기업의 진입을 규제하고 보호주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시장보다 관료들의 정책 결정으로 영화산업을 이끌어간다는 얘기다.
수입 영화 쿼터제에 따라 한국 영화는 연간 3편까지만 수입해 개봉할 수 있다. 그것도 엄격한 심의제에 따라 '전체관람가'만 허용된다. 그러나 수많은 중국인들이 한국의 최신영화들을 본다. 대부분의 한국 영화가 불법복제돼 유통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은 중국인의 해적질을 막고,중국 정부의 규제를 낮추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정부는 중국 저작원위원처와 협약을 통해 해적판을 집중 단속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도 자국 영화시장을 육성하는 데 나섰기 때문에 거부하지 않을 것이란 얘기다.
유재혁 기자 yooj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