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욕 부린 운동, 젊은 층 “반월상 연골판 손상” 주의보!
입력
수정
- 무릎 관절의 안정을 담당하는 반월상 연골판, 퇴행성 변화나 외상으로 손상
- MRI 검사로 손상 부위 확인, 자기관절 보존하는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주목
- 평소 무릎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반월상 연골판 손상 예방 할 수 있어
주부 정모씨(여, 52세)는 며칠 전 걸레질을 하고 일어서다 ‘뚝’ 하는 소리와 함께 찾아 온 무릎 통증 때문에 힘없이 주저 앉고 말았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너무 놀라 식은땀까지 흘린 정씨는 조금 쉬면 나아지겠지 하고 생각했지만 통증이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서고 앉을 때는 물론이고, 무릎을 구부리는 행동 모두가 힘들어졌다. 심지어 무릎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통증이 느껴져 결국 정씨는 병원을 찾았고, 반월상연골판 손상 진단을 받았다.사랑하는 연인에게 프러포즈를 할 때, 싸움에서 항복을 할 때, 간절한 기도를 올릴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면은 무엇일까? 바로 무릎을 꿇는 모습이다. 무릎은 우리의 다리 가운데에서 넓적다리와 정강이뼈를 잇는 역할을 하며 굽혔다 펴는 동작을 가장 많이 하는 부위이다. 또한 무릎은 우리 몸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압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부상이나 질병에 가장 취약한 부위이기도 하다. 무릎 관절을 지탱해주는 십자인대가 파열되기도 하고, 마찰력을 줄여주는 연골이 소실되는 슬개골연골연화증이 생기기도 하며, 모든 무릎 질환의 종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퇴행성 관절염에 걸리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 층이 늘어나면서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무릎 관절의 안정을 책임지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 만성 통증과 관절염 유발!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의 위 뼈인 대퇴골과 아래 뼈인 경골 사이에 있는 반달모양의 물렁뼈로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한다. 즉 무릎 안에서 무릎 위 뼈의 하중을 무릎 아래 뼈로 전9달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관절의 안정을 책임지는 것이다. 따라서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의 관절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관절염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월상 연골판은 연골판의 퇴행성 변화나 외상으로 인해 파열 될 수 있는데 예전에는 4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의 연령대에서 많이 발병했으나 최근에는 농구나 축구 등 과격한 스포츠를 즐기는 2, 30대 젊은 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다. 만약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되면 무릎을 사용할 때마다 만성 통증이 생기고, 소리가 나기도 한다. 또한 무릎 관절이 심하게 붓고, 힘없이 꺾이기도 하며, 쪼그려 앉거나 몸의 방향을 바꿀 때 특히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로 치료 가능, 그러나 평소 하는 무릎 강화 운동이 최선의 예방책!
이에 관절, 척추 전문 정동병원 김창우 대표원장은 ‘반월상 연골판 손상은 2~3일이 지나면 통증이 없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염좌로 오인하여 방치하기가 쉬운데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방치하게 되면 완충 역할 없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그대로 뼈에 전달되어 퇴행성 관절염이 빨리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만약 손상 정도가 미비하다면 약물 치료와 붕대, 부목, 석고 등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MRI 검사를 통해 연골판 손상의 범위를 확인한 후 수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본인의 관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자기관절보존시술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된 경우라면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이 효과적이다.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손상된 연골판 대신 환자 본인의 연골판과 똑 같은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자기관절을 보존하는 시술법이다. 먼저 이식 받을 환자의 정확한 반월상 연골판 크기를 X-ray 검사를 통해 측정한 후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생체학적으로 거부반응이 적고, 이식 후에도 생착이 잘 되기 때문에 통증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절내시경 수술이기 때문에 절개 부위가 5mm내외로 작아서 상처도 크게 남지 않고, 수술 시간도 1시간 30분 가량 소요되며, 회복 기간도 약 한 달 정도로 비교적 간단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무릎 건강을 지키는 것이다. 정동병원 김창우 원장은 ‘무릎은 사용량이 많은 만큼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높기 때문에 평소 강화 운동을 통해 무릎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Tip] 무릎 강화 운동법1. 의자에 앉아 무릎을 똑바로 펴고 다리를 들었다 올렸다 하기. 단, 다리를 들어올렸을 때 무릎을 똑바로 편 상태에서 10초간 힘을 주고 힘 빼기를 반복한다.
2. 똑바로 서서 발 뒤꿈치를 10초간 들고 있다가 내리기.
3. 무릎을 뒤쪽으로 구부려 10초간 당겼다 풀었다 반복하기.4. 의자에 앉아 무릎 사이에 베개나 비치 볼을 끼고 10초간 눌렀다 힘 빼기를 반복
5. 한 쪽 발로 중심을 잡고 선 후, 딛고 있는 다리를 구부렸다 펴기를 반복
- MRI 검사로 손상 부위 확인, 자기관절 보존하는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 주목
- 평소 무릎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반월상 연골판 손상 예방 할 수 있어
주부 정모씨(여, 52세)는 며칠 전 걸레질을 하고 일어서다 ‘뚝’ 하는 소리와 함께 찾아 온 무릎 통증 때문에 힘없이 주저 앉고 말았다. 갑작스러운 상황에 너무 놀라 식은땀까지 흘린 정씨는 조금 쉬면 나아지겠지 하고 생각했지만 통증이 날이 갈수록 심해졌다. 서고 앉을 때는 물론이고, 무릎을 구부리는 행동 모두가 힘들어졌다. 심지어 무릎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통증이 느껴져 결국 정씨는 병원을 찾았고, 반월상연골판 손상 진단을 받았다.사랑하는 연인에게 프러포즈를 할 때, 싸움에서 항복을 할 때, 간절한 기도를 올릴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장면은 무엇일까? 바로 무릎을 꿇는 모습이다. 무릎은 우리의 다리 가운데에서 넓적다리와 정강이뼈를 잇는 역할을 하며 굽혔다 펴는 동작을 가장 많이 하는 부위이다. 또한 무릎은 우리 몸의 무게를 지탱하며 상대적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압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부상이나 질병에 가장 취약한 부위이기도 하다. 무릎 관절을 지탱해주는 십자인대가 파열되기도 하고, 마찰력을 줄여주는 연골이 소실되는 슬개골연골연화증이 생기기도 하며, 모든 무릎 질환의 종착역이라고 할 수 있는 퇴행성 관절염에 걸리기도 한다. 특히 최근에는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 층이 늘어나면서 반월상 연골판 파열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무릎 관절의 안정을 책임지는 반월상 연골판 파열, 만성 통증과 관절염 유발!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의 위 뼈인 대퇴골과 아래 뼈인 경골 사이에 있는 반달모양의 물렁뼈로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한다. 즉 무릎 안에서 무릎 위 뼈의 하중을 무릎 아래 뼈로 전9달하고, 충격을 흡수하며 관절의 안정을 책임지는 것이다. 따라서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의 관절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움직일 때 발생하는 마찰을 최소화하여 관절염을 예방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월상 연골판은 연골판의 퇴행성 변화나 외상으로 인해 파열 될 수 있는데 예전에는 40대 중반에서 60대 초반의 연령대에서 많이 발병했으나 최근에는 농구나 축구 등 과격한 스포츠를 즐기는 2, 30대 젊은 층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다. 만약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지거나 파열되는 등의 손상을 입게 되면 무릎을 사용할 때마다 만성 통증이 생기고, 소리가 나기도 한다. 또한 무릎 관절이 심하게 붓고, 힘없이 꺾이기도 하며, 쪼그려 앉거나 몸의 방향을 바꿀 때 특히 심한 통증이 느껴진다.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로 치료 가능, 그러나 평소 하는 무릎 강화 운동이 최선의 예방책!
이에 관절, 척추 전문 정동병원 김창우 대표원장은 ‘반월상 연골판 손상은 2~3일이 지나면 통증이 없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염좌로 오인하여 방치하기가 쉬운데 반월상 연골판 손상을 방치하게 되면 완충 역할 없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이 그대로 뼈에 전달되어 퇴행성 관절염이 빨리 진행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만약 손상 정도가 미비하다면 약물 치료와 붕대, 부목, 석고 등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MRI 검사를 통해 연골판 손상의 범위를 확인한 후 수술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본인의 관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자기관절보존시술법이 주목을 받고 있는데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된 경우라면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이 효과적이다.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손상된 연골판 대신 환자 본인의 연골판과 똑 같은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자기관절을 보존하는 시술법이다. 먼저 이식 받을 환자의 정확한 반월상 연골판 크기를 X-ray 검사를 통해 측정한 후 관절 내시경을 이용해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반월상 연골판 이식술은 생체학적으로 거부반응이 적고, 이식 후에도 생착이 잘 되기 때문에 통증을 개선하는 것은 물론 퇴행성 관절염을 예방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관절내시경 수술이기 때문에 절개 부위가 5mm내외로 작아서 상처도 크게 남지 않고, 수술 시간도 1시간 30분 가량 소요되며, 회복 기간도 약 한 달 정도로 비교적 간단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평소 무릎 건강을 지키는 것이다. 정동병원 김창우 원장은 ‘무릎은 사용량이 많은 만큼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위험이 높기 때문에 평소 강화 운동을 통해 무릎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Tip] 무릎 강화 운동법1. 의자에 앉아 무릎을 똑바로 펴고 다리를 들었다 올렸다 하기. 단, 다리를 들어올렸을 때 무릎을 똑바로 편 상태에서 10초간 힘을 주고 힘 빼기를 반복한다.
2. 똑바로 서서 발 뒤꿈치를 10초간 들고 있다가 내리기.
3. 무릎을 뒤쪽으로 구부려 10초간 당겼다 풀었다 반복하기.4. 의자에 앉아 무릎 사이에 베개나 비치 볼을 끼고 10초간 눌렀다 힘 빼기를 반복
5. 한 쪽 발로 중심을 잡고 선 후, 딛고 있는 다리를 구부렸다 펴기를 반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