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org 경영노트] 안티소비에 주목하라

특정제품에 부정적 경험 있거나 과도한 마케팅에 스트레스 받으면 구매거부 현상으로 이어져
기업이 건전한 소비문화 주도하는 적극적 주체로 나서야
'소비하다(consume)'의 의미는 시대에 따라 달라졌다. 18세기까지만 해도 소비는 '파괴하다(destroy)','고갈시키다(exhaust)' 등 부정적 의미가 강했지만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발달하면서 '욕망을 충족한다'는 긍정적 의미로 바뀌었다.

대중 소비문화가 고도로 발전한 21세기 들어 소비에 대한 인식은 다시 한번 바뀌고 있다. 과소비와 기업의 과도한 마케팅에 반감을 갖는 소비자가 많아지고,물질적 불평등과 환경오염 등 소비의 부정적 측면을 비판하는 움직임이 대중의 공감을 얻으며 확산되고 있다. 경제적 제약이 아닌 개인적 성향이나 정치적 신념을 이유로 소비를 회피하고 거부하는 '안티소비(anti-consumption)' 현상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안티소비는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피로형 안티소비'는 지나치게 다양한 상품과 과도한 마케팅에 피로를 느껴 소비를 거부하는 행태다. TV 광고는 물론 상업용 스팸메일 등 무차별적으로 전달되는 마케팅 메시지도 소비자의 스트레스를 유발한다.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다운시프트(down-shift)' 운동은 피로형 안티소비가 발전한 형태다.

'트라우마형 안티소비'는 특정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부정적 경험이 구매 거부로 이어지는 현상이다. 개인적으로 불쾌감을 느끼는 상품을 구매 대상에서 제외해 버리는 것이다.

와튼경영대학원이 소비자 11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매장에서 불쾌한 경험을 한 소비자의 30%는 해당 매장을 다시 방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뚜렷한 이유가 없는 비호감이 구매 회피로 연결되기도 한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지 CNET이 안드로이드폰 사용자 2000명을 상대로 '아이폰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를 질문한 결과 '그냥 애플이 싫어서'라는 응답이 55.7%를 차지했다.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목적으로 소비를 거부하는 '계몽형 안티소비'도 있다. 소비를 줄임으로써 자원 고갈과 환경 오염 등의 문제를 해결하자는 움직임이다. 캐나다 비영리단체 애드버스터즈가 주도하는 '아무것도 사지 않는 날',신발 브랜드 톰스슈즈의 '신발 없는 하루' 운동 등이 대표적이다. 계몽형 안티소비는 소셜 미디어의 등장과 함께 확산 속도가 더욱 빨라졌다.

기업은 안티소비를 주변적인 사회현상이 아닌 경영 환경의 중요한 변화로 인식해야 한다. 안티소비 경향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마케팅에서 상품과 브랜드의 본질적 가치를 강조하되,필요 이상의 것을 제거하는 과유불급의 원칙이 필요하다.

또 기업이 건전하고 미래 지향적인 소비문화를 주도하는 적극적 주체로 나설 때 안티소비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최순화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soonhwa.choi@samsung.com




'작은 가슴' 고민
이런 비키니 어때?

박지은 교수
"엉덩이와 허벅지는…"